정몽구 회장 “공장 건설 단계부터 품질 최우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왼쪽에서 둘째)이 23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짓고 있는 현대차 현지공장을 방문해 현지 근로자를 격려하고 있다.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이 도요타 리콜 사태 이후 품질 점검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생산시설을 수시로 찾아 조직에 긴장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정 회장은 23일(현지시간) 현대차 러시아 현지 공장이 지어지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해 최상의 품질력 확보를 주문했다. 정 회장은 “러시아 공장은 갈수록 중요성을 더해 가는 동유럽 지역에서 판매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초석”이라며 “최고의 품질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장 건설 단계부터 철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성우하이텍 등 협력업체 7개사의 부품단지 건설현장을 방문해 부품 품질 확보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러시아 공장은 2008년 6월 상트페테르부르크주의 카멘카 지역에 착공했다. 현재 공장 건물 건설을 마치고 조립라인 설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총 3억3000만 유로(약 5000억원)를 투자한 러시아 공장은 내년 1월부터 10만 대 규모의 완성차를 생산하고, 2012년에는 15만 대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 우선 베르나급의 소형 모델을 생산하고, 추후 시장 상황에 맞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만들 계획이다.

지난해 러시아 수입차 시장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전년 대비 51% 감소한 99만2500여 대에 그쳤다. 현대차도 지난해 러시아에서 7만4607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61% 줄었다. 러시아 수입차 순위도 포드·시보레(GM)에 이어 3위로 2008년보다 한 계단 내려앉았다.

하지만 올 들어선 호조다. 러시아 정부가 11년 이상 노후차를 교체할 때 5만 루블(약 190만원)을 지원해 주는 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차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올 1~2월 1만1821대를 팔아 10.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수입차 시장 1위로 뛰어올랐다.

특히 투싼과 클릭(현지명 게츠)이 2월까지 각각 3163대, 1635대 팔려 SUV와 소형차 부문에서 각각 1위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올 상반기 체코 공장에서 생산하는 투싼ix(현지명 ix35)와 하반기 신형 쏘나타를 차례로 출시해 러시아 수입차 시장에서 1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