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시즌 젊은 층 구직활동 늘어 청년 실업 1년새 6만여 명 급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지난 5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관훈클럽 토론에서 “(1월 실업률이 5%라는 발표에) 굉장히 당황했다”고 말했다. “옛날 같으면 비틀어서 발표 못하게 했을 수도 있다”고도 했다. 재정부가 얼마나 곤혹스러웠는지 엿볼 수 있는 ‘고백’이다.

윤 장관은 그날 기대도 표명했다.

“2월 통계가 나올 텐데 상당히 떨어질 거다. 3월은 희망근로가 시행되기 때문에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하지만 17일 발표된 고용 통계는 그 기대를 비껴갔다. 실업률은 4.9%로 1월에 비해 겨우 0.1%포인트 떨어졌을 뿐이다. 3월에 정상으로 돌아왔는지는 다음 달 발표를 기다려봐야 알 수 있다.

통계청과 재정부의 설명은 한 달 전과 비슷하다. 통계청이나 재정부의 풀이를 복기해 보면 통계상으로 실업을 키운 것은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었다.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에 속하는 이들이 나랏돈으로 만든 일자리를 찾아나서면서 실업률이 뛴 것이다. ‘마찰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라는 얘기다.

재정부는 2월에도 일부 지자체가 희망근로 신청 접수를 오래 끌어 비경제활동인구로 돌아간 사람이 예상보다 적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2월은 일자리를 찾는 청년층이 쏟아지는 달이다.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15~19세 층에서 0.9%포인트, 20~29세 층에서 1.5%포인트 뛰었다.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전년 동월보다 8만2000명 줄었다. 청년 실업자는 6만1000명 늘었다. 경기회복과 함께 일자리를 찾아나선 청년이 늘었고, 덩달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 실업자도 늘었다는 뜻이다.

재정부 윤종원 경제정책국장은 “취업이 결정된 사람도 실제 근무는 3월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며 “3월 통계에선 실업률이 더 떨어지고,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30만 명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희망적인 신호들도 있다. 2월 취업자는 2286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5000명 증가했다. 2008년 8월 15만9000명 이래 최대폭이다. 통계청 은순현 고용통계과장은 “취업자 증가는 보건·사회복지·운수업·제조업 등 비농림어업 분야에서 활발했다”고 말했다. 만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 비율인 고용률도 1월보다 0.1%포인트 늘어난 58.3%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전년 동월보다 4만5000명 늘어난 것도 청신호다. 

허귀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