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3당연합 기정사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울산시지부를 방문한 민주당 김중권(金重權)대표는 23일 "민국당이 안정을 찾은 뒤 협조 방안을 논의할 것" 이라고 말했다.

그의 이런 발언은 이날 오후 민국당 전당대회가 대리 투표 의혹으로 중단되는 소동을 겪은 뒤 나왔다.

하지만 여권에서는 민주당.자민련.민국당의 3당 정책연합, 이른바 'DJP+α' 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박상규(朴尙奎)사무총장은 "민국당 2석이 가세하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임기 후반부에 원내 과반 의석 확보가 가능하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DJP+α' 는 1백37석으로 반수(전체 의석 2백73석)를 가까스로 넘는다.

정책연합은 합당이 아니라, 쟁점.정책에 대한 입장이 같으면 힘을 합쳐 의안을 통과시키자는 것이다.

느슨하지만 여대야소(與大野小)의 새로운 틀이 짜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난해 4.13총선 뒤 한나라당(1백33석)에 빼앗겼던 정국 주도권을 되찾고 '강한 여당론' 을 뒷받침할 국회 내 일처리 수단이 확보됐다" 고 말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민국당 내부에서 반발이 있더라도 대세는 3당연합 추진 쪽으로 잡힐 것" 이라고 기대했다.

비주류의 반발보다 현역 의원(韓昇洙.姜淑子) 두명이 국회에서 협조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민주당 김중권 대표와 민국당 김윤환(金潤煥)대표는 조만간 정책연합의 구체적 방법을 논의할 작정이다.

민주당은 4월 임시국회에서 돈세탁방지법.인권법 등 개혁 관련 법안을 3당이 협조해 처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영환(金榮煥)대변인은 "개혁 입법을 여야 합의로 처리하되 안되면 표결 처리할 것" 이라고 밝혔다.

3당 연합을 지렛대로 해 국회에서 한나라당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이다.

여권 관계자들은 "다음주 있을 개각에서 민국당 인사가 입각하는 게 확실하다" 고 말한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대변인은 "정치철학이나 신념이 전혀 다른 정당들간에 정책연합이라는 표현 자체가 어울리지 않는다" 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비(非)한나라당.반(反)이회창으로 무장해 수적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정치적 야합" 이라고 주장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