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개항 앞두고 '불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인천국제공항 개항(29일)을 앞두고 16일 공항공사측이 실시한 공항 수하물 처리 시스템(BHS) 시험과정에서 시스템과 연결된 탑승 수속장치에 결함이 발생했다.

때문에 이날 예정된 시스템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불안한 개항' 의 우려가 다시 커졌다.

문제가 발생한 부분은 승객들의 탑승 수속과 동시에 항공기 편명과 목적지, 수하물 숫자 등 탑승객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해 이 정보에 따라 수하물 분류가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장치다.

특히 이날 문제가 된 시스템은 공항의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장치로 공항공사측이 당초 개항 3개월 전까지 작업을 끝내고 안정화 시험을 할 예정이었으나 개항을 불과 10일여 앞둔 시점까지 완료되지 않아 개항 후 정상적인 운영 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멈춰버린 시스템〓이날 오후 3시30분 공개적으로 이뤄진 BHS 모의시험 시작 전 BHS와 항공사 출국 수속라인을 연결하는 항공사 공용 시스템(CUS.Common Use System)이 작동하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공사측은 시스템을 복구하지 못해 이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채 2시간여 뒤 모의시험을 했다. 때문에 이날 시험에서 항공사 직원들은 일일이 모의승객의 입력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수하물에 꼬리표를 붙이는 이중작업을 해야 했다.

이에 따라 수속시간이 평소보다 두배 이상 지연됐다. 시스템은 이날 오후 8시30분에 복구됐다.

◇ 항공기 지연사태 야기 가능성〓인천공항은 해당 항공사의 체크인 카운터에서만 수속이 가능한 김포공항과 달리 모든 카운터에서 수속이 가능하도록 CUS를 도입했다.

항공사협의회(AOC)의 한 관계자는 "인천공항의 CUS 불안에 대해 항공사는 물론 인천공항 컨설팅업체도 여러차례 지적한 바 있다" 면서 "개항 후 이같은 사고가 발생하면 항공기의 대규모 지연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공사측은 "일부 항공사 수하물 처리장치와 CUS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으나 개항 전까지는 이같은 문제를 모두 보완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지난달 실시한 1차 공개 모의시험에서는 수하물 처리 시스템이 일시 정지된 바 있다.

전진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