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문전수거 부산서 확대 실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시는 내년까지 쓰레기를 집 앞에서 거둬 처리하는 '문전 수거' 를 내년까지 농촌지역을 제외한 부산 전 지역으로 확대키로 했다.

시는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시민들의 쓰레기 처리 어려움을 덜기 위해 문전수거를 확대하기로 하고 14일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연제구.사상구는 7월부터, 동래구는 11월부터 문전수거를 하기로 했다. 또 중구.서구.동구.영도구.남구는 내년에 시행키로 하고 처리비용 등에 대한 검토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역인 강서구와 기장군은 대부분의 마을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어 문전수거를 하지 않기로 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타종수거(청소차가 지나면서 종을 칠 때 쓰레기를 가져가 버리는 방법)와 정차지정수거(일정한 곳에 쓰레기를 갖다놓으면 가져가는 방법)를 하고있다.

부산시는 문전수거룰 하면 쓰레기 무단투기가 절반 이상 줄고 매립장 쓰레기 반입량이 25% 정도 줄 것으로 보고있다.

부산시는 문전수거에 따른 수거인력 증가 등으로 수거비용이 구별로 평균 20여억원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올해와 내년에 4억~5억원씩 지원키로 했다. 부산에서는 사하구가 1996년 1월 가장 먼저 문전수거를 시작한 뒤 금정구.북구.수영구.부산진구 등 6개 구에서 문전수거를 실시, 쓰레기 줄이기 등의 효과를 보고있다.

정용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