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 질문 사회·문화 분야] 언론세무조사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던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15일 각각 국정조사를 요구하면서 상대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여야는 국회 본회의 사회.문화분야 대정부 질문에서도 언론문건과 세무조사를 놓고 격돌했다.

◇ 국정조사 vs 국정조사〓한나라당은 이날 '시사저널' 이 보도한 이른바 '반여(反與)언론대책' 문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고, 민주당은 1994년의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의 '도쿄(東京)발언' 의 국정조사를 추진키로 했다.

한나라당 박관용(朴寬用)언론장악저지특위 위원장은 "언론대책 문건에서 드러난 정권의 언론장악 음모를 파헤쳐야 한다" 며 "대통령이 언제 누구에게서 보고를 받았으며, 반여 언론에 대한 길들이기 지침을 내렸는지 국정조사로 밝혀야 한다" 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내용이 어마어마해 덮었다. 그대로 뒀으면 몇몇 언론사는 존립이 어려웠을 것" 이라고 한 金전대통령의 도쿄 발언이 "세무조사 결과를 왜곡하고 세금을 깎아준 국기문란 행위" (金榮煥대변인)라고 맞섰다. "당시 총리와 비서실장이던 이회창(李會昌)총재와 박관용 의원을 증인으로 채택하자" 는 얘기도 나왔다.

◇ 본회의장 공방〓대정부 질문에서 한나라당 신경식(辛卿植)의원은 "(언론이)자기들을 잘 봐줄 때는 아무 소리 없다가 비판하니까 재갈을 물리겠다며 칼을 들이대는 보복적 세무사찰은 중단돼야 한다" 고 목청을 높였다.

辛의원은 또 '언론과의 전쟁불사' 를 언급한 노무현(盧武鉉)해양부장관을 겨냥, "언론이 반국가단체.반사회단체라도 되느냐. 이 말은 50년이 지나도 화제가 될 것" 이라고 꼬집었다.

" '반여 언론에 정면 돌파하라' 는 식으로 정치를 끌고가니 민심이 떠나는 것 아니냐" 는 지적도 나왔다.

민주당 설훈(薛勳)의원은 "99년에도 야당은 출처 불명의 문건을 들고 나왔고 이강래 의원을 작성자로 지목했으나 사실무근임이 밝혀졌고, 그 말을 한 사람은 피소됐다" 며 반박했다.

같은당 정범구(鄭範九)의원은 "언론개혁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 며 "정부는 불.탈법을 덮어뒀던 과오를 되풀이해선 안된다" 고 주장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