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정보화' 제대로 하려면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정보화를 위해 지자체들은 바쁘게 움직이고 있지만 “지역 정보화 수준을 높여서 과연 얻는 것이 무엇이냐”며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적지 많다.

주민들에게 제공할 컨텐츠가 부실하거나 디지털로 무장된 주민을 상대해야 하는 공무원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정보 인프라를 구축해도 정작 그 이후가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

대구 수성구청의 경우 지난해부터 의욕적으로 ‘주민 e-메일보급’운동을 폈지만 이를 통해 작년 한해동안 제공한 컨텐츠는 3차례 구정소식지를 보내준 게 고작이다.

주민들은 “컴퓨터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웬만한 사람들은 전문 정보사이트까지 뒤지고 있는 마당에 e-메일보급운동을 펴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10월부터 종합토지세 인터넷 납부제를 실시한 부산시의 경우 주민 2만5천명이 이를 이용하겠다고 신청했지만, 정작 이용한 사람은 1천5백명에 불과했다.

은행에 찾아가 공인인증을 받아야 하는데다 인터넷으로 관련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설치해야만 하는 등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게다가 잦은 접속불량에 시달리기 일쑤고 납부도 은행 온라인 거래시간만으로 제한받는 등 차라리 종전대로 납부하는 게 편하겠다는 지적이 많다.

충북의 경우 대부분 시 ·군별 정보화 전문인력이 4∼5명에 불과,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키기엔 역부족이다.

주민이 인터넷으로 민원신청을 해도 제대로 처리할 수 있을 만큼 공무원들이 정보화 대응 훈련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 기초단체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정보화사업에 매달리고 있긴 하지만 누구에게 어떤 정보를 어떻게 전해야 할 지 방향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며 “행자부에서 아이디어를 보내 주기만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실토했다.

대구=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