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노갑 파문' 진화 나선 청와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권노갑(權魯甲)2선 후퇴론’으로 빚어진 여권내 갈등상황이 6일 저녁을 고비로 다소 가라앉은듯 했다.오후 들어 청와대가 적극적인 수습에 나서면서다.

權최고위원과 정동영(鄭東泳)최고위원,그리고 權위원측이 배후로 거론했던 한화갑(韓和甲)최고위원 모두에게서 국면을 진화하려는 흔적이 있었다.

이런 움직임은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식 특별수행원 명단에서 權위원이 빠지면서 나타났다.

청와대가 오전에 발표한 명단에는 權위원이 들어 있었다.그러나 오후 들어 달라졌다.박준영(朴晙瑩)대변인은 “본인이 스스로 판단해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청와대 관계자는 “당사자인 權위원이 나서 사태를 수습하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金대통령은 이날 이 문제에 대해 직접 언급을 하지 않았다.오전 서영훈(徐英勳)대표로부터 주례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상황은 잘 알고있다”면서도 “국회 예산과 민생개혁법안 마무리한 후 당정관계를 검토하겠다”고만 말했다.

청와대 참모는 “노르웨이 방문(8일)을 앞두고 이 시점에서 당내 갈등은 바람직하지 않으며,국회문제에 전념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특히 金대통령은 ‘제3의 인물’을 통해 자신의 뜻을 명확하게 친권(親權)·반권(反權)양쪽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되는 문제는 자신이 연말에 국정쇄신방안을 내놓을 때까지 거론하지 말라는 것이 金대통령의 뜻이란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노벨상 수상식 순방에서 金대통령이 돌아오면 최고위원들을 불러 다시 모든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한 의견을 들을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金대통령이 어떤 결론을 내렸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한 참모는 말했다.4·13총선전에 출마하지말라고 權위원을 주저앉힌 일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權위원에 대한 민주당내 소장파들의 공세는 여론을 업고 있어 “당내문제로만 치부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權위원은 여권 내부에서 일정부분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거취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지적했다.그를 퇴진시킬 경우 국정운영의 틀을 다시 짜야 한다는 것이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