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별 사이버 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7면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교육 서비스는 인터넷 기술의 집합체다.

음성과 동영상을 실시간 구현하는 기술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기술, 보안시스템을 이용한 모의시험 솔루션등 첨단기술이 망라돼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기술의 특성과 인터넷 응용 수준 등을 감안해 적절한 유형의 사이트를 선택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이버교육 서비스를 유형별로 나누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사이버강의/VOD형=VOD(Video on Demand)는 흔히 유선 TV 방송사가 가입자들에게 원하는 시간에 보고 싶은 비디오를 볼 수 있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문형 비디오를 말한다.

VOD는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호출하면 영상을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센터에서 검색해 고속 광대역 전송로를 통해 각 단말기로 보내진다.

사이버 강의와 VOD형 서비스는 이러한 VOD 서비스를 도입, 교육용 비디오 혹은 사이버 강의를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나 VOD는 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교사의 모습보다는 칠판 판서와 관련 비디오를 강조한 GVA등이 도입되어 어학 강좌 등에 사용되고 있다.

GVA는 교실에서와 같이 칠판 판서를 보며 강의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한 것. 최근의 사이트는 애니메이션, 플래시, 동영상 등을 활용해 친숙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 WBI/HTML형=학습자의 지식이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의도적인 상호작용을 웹을 통해 전달하는 서비스를 한다.

설계가 잘 된 사이트는 어떠한 주제건 학습자 주도적(self-directed)이고 학습자의 속도에 맞는(self-paced) 교수법을 제공하며 다양한 매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접속을 확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형태는 세 가지 정도로 구분된다.

첫째, 컴퓨터 네트워크가 면대 면 교육이나 원격교육 등에서 하나의 보조적 매체로 활용되는 형태가 있고 둘째,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체 강좌나 강좌의 일부를 가르치는 주된 매체로 활용되는 방식이 있다.

세번째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보다 자유로운 지식 네트워킹의 장, 토론의 참여수단,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활용의 수단, 또는 세계에 흩어진 전문가나 동료들과의 정보교환의 수단 등으로 이용하는 형태다.

◇ 학습지/시험형=학습지형은 학습 자료를 학습지의 형태로 메일로 전송해주거나 개별 지도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다.

시험의 경우는 주로 모의고사 형식과 같은 시험 문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인터넷 상에서 풀고 답을 입력하도록 한 후 이에 대해 채점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가리킨다.

◇ Q&A/자료실형=인터넷을 통해 학습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해주고 교수 내용과 관련한 자료들을 자료실 형태로 제공해주는 사이트들로 주로 게시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 사이버스쿨형=사이버 스쿨은 말 그대로 인터넷 상의 가상 학교 시스템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강의를 듣고 이에 따른 학사 과정을 밟아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고교생을 포함한 더 넓은 범위의 대상층으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 포털형=포털형은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들을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의 형식이나 링크 형식을 빌어 제공해준다.

직접 교수 컨텐츠를 보유하여 제공하기 보다는 교육 컨텐츠의 소재(정보 위치)를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교육 컨텐츠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실시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