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의료제도] 주민 민간요법·한의 선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최근 국방부에서 열린 대한군진(軍陣)의학협회 주최 종합학술대회에서 서울대 보건대학원 문옥륜(文玉綸.57)교수가 '북한의 보건의료제도' 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文교수는 "북한 의료제도 역시 다른 분야처럼 민간조직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고 당과 정부가 직접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한다" 고 설명했다.

◇ 무상 치료제와 의사 담당구역제〓북한의 가장 기초적인 보건의료 인프라는 '무상(無償)치료제' . 1948년 임신부.3세 미만 어린이.전염병환자 등 극히 제한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작됐다가 60년부터는 모든 인민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재원(財源)은 근로자들의 노임 중 5~12%를 떼내 충당한다. 그러나 공산당원과 일반 주민들이 받는 의료서비스엔 큰 차이가 있다고 한다.

또 다른 특징은 '의사 담당구역제' .의사가 거주지와 직장으로 나눠 일정한 지역을 담당, 해당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돌보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대개 도시의 경우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 등 4명의 의사가 주민 4천명을, 농촌은 내과의사 1명이 5백명의 주민을 돌본다고 文교수는 전했다.

병원은 1~4차 진료기관으로 분류되는데 하급기관에서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만 상급기관을 찾을 수 있으며 결핵 및 간염환자를 위해 따로 요양소를 마련해 놓았다.

◇ 민간요법 활용도 높아〓 '고려과학원' 이 61년부터 연구에 몰두, 4만6천여건의 민간요법을 발굴.정리해 놓았다.

이를 통해 간단한 외상치료나 감기.설사에서부터 당뇨병.심장병.위궤양 등의 다양한 병치료를 민간요법에 의존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도 서양의학보다 한의학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다.

文교수는 "북한에선 과학적인 현대의학 서비스보다 전통적이고 민속적인 보건의료 서비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며 "따라서 우리와 의학수준의 차이도 상당히 크다" 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