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은행 공적자금 6조4,000억 요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은행권이 경영정상화를 위해 6조4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했다.

한빛·외환·조흥·평화·광주·제주 등 6개 은행은 30일 금융감독위원회에 자본확충과 부실정리,인원감축방안 등을 담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했다.이에따라 금감위는 이달부터 은행 경영평가위원회를 구성,지원 기준을 확정하고,회계 법인들의 정밀 실사를 거쳐 지원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은행들이 밝힌 개선계획에 따르면 한빛은행은 잠재부실을 모두 없애고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 비율을 10%까지 끌어올리기위해 3조7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신청했다.당초 알려졌던 3조∼3조5천억원 수준보다 다소 늘어난 것이다.

한빛은행은 공적자금을 받기위한 자구계획의 일환으로 내년까지 전 직원의 12%인 1천5백명의 직원(계약직 6백10명 포함)을 감원하기로 했으며,9조1천억원의 각종 부실을 줄일 계획이다.

한빛은행 관계자는 “대우사태로 인한 손실이 워낙 컸던데다,앞으로 부실기업들이 대거 퇴출될 경우 추가 손실이 생긴다는 것을 감안해 공적자금 소요 금액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평화은행의 경우 4천5백억원,광주은행은 4천6백억원,제주은행은 1천5백억원 정도의 정부 지원을 요구했다.외환은행에는 공적자금은 아니지만,한국은행 자금 4천억원이 수출입은행을 통해 지원될 예정이다.

독일 도이체방크로부터 경영자문을 받고 있어 이번 경영개선계획 제출 대상에서 제외된 서울은행의 경우는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적어도 1조3천억원 정도의 공적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부실은행들이 정부의 공적자금 조성이 더 이상은 힘들 것이라는 판단하에 가급적 많은 지원을 받기위해 공적자금을 부풀려 신청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감위 관계자는 “은행들의 요청액이 당초 예상보다는 5천억∼1조원 정도 많은 것으로 본다”며 “철저한 실사를 거치는만큼 요청금액이 그대로 지원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