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 이 문제] 상주 쓰레기소각장 건립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쓰레기소각장 건립을 둘러싸고 상주시와 시민단체.주민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전교조 등 상주지역 11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상주시민참여연대 회원.주민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복용동 소각장 건립 공사장에서 농성을 벌인데 이어 지난 25일 한때 시의회 의장실을 점거하기에 이르렀다.

문제가 되는 소각장은 시가 민자유치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복용동 2천평에 지난 5월부터 ㈜한화가 시공중이다.

화서면 등 현재 운영중인 6곳의 쓰레기매립장이 2002년이면 매립이 끝날 예정이기 때문. 이곳에선 하루 48t을 소각, 시의 쓰레기 40%와 하수 슬러지를 처리하게 된다.

시민단체.주민들은 "소각장 건립은 토양을 오염시켜 뽕나무 등 농업기반의 지역경제가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것" 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는 젖은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라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소각장 주변은 뽕나무밭 등 대부분 논밭이며 상주여고와 우방 등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고 있다.

복용동 인근 동문동에 2천7백여평의 과수원을 가진 전봉식(全鳳植.51)씨는 "퇴비를 활용한 환경농법으로 사과농사를 짓는데 소각장이 들어서면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주민들은 "소각장 공사를 중단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사료화.퇴비화하라" 고 요구했다.

상주참여연대 정용운(鄭龍雲.38)씨는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재활용하는 추세에서 시의 소각정책은 토양오염을 불러올 수 있다" 고 말했다.

이들은 또 시의 한화와 수의계약 등에 의혹을 제기하며, 시의회에 행정감사.조사를 실시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재활용하는 조례를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시 관계자는 "사용연한이 짧은 매립장 확보는 지역이기주의에 따른 민원이 잇따르고 예산 마련도 쉽지 않아 쓰레기를 소각한 뒤 잔재물을 매립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했다" 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을 마련 중" 이라고 말했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