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폭설 대응 매뉴얼 뜯어고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정부가 폭설 대응 매뉴얼(지침서)을 다시 만든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8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대설 대응 매뉴얼과 제도를 현실에 맞게 개선해 향후 대설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적극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최근 폭설로 교통대란이 발생하는 등 초기 대응과 제설 방식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에 관리하고 있던 교통취약구간을 재점검해 폭설 교통체증의 원인이 된 도심 터널 주변, 오르막·내리막길에 대한 제설 매뉴얼을 다시 만들기로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그동안은 적설량에 따른 경보를 내릴 때 도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 부족했다”며 “이를 개선하고 제설 책임도 명확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스노 멜터(눈을 녹이는 이동식장비), 스노히팅코일시스템(열선), 자동염수분사장치를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최근 서울이 기상 관측 이후 최대 적설량(25.8cm)을 기록하는 등 앞으로 기상 이변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제설과 관련한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할 예정이다. 또 지하철에 대해서는 향후 출입문에 열선을 설치하는 등 결빙 방지 장치를 하고 눈 유입 방지 구조로 개조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대설로 피해를 본 비닐하우스·축사에 대한 피해 조사를 실시한 뒤 중앙합동조사를 거쳐 재해복구비를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