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용 LG전자 부회장 “올해 매출 목표 59조원…채용 1000명 이상으로 늘릴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남용(사진) LG전자 부회장은 “올해가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기업으로 올라서는데 중대한 기로”라고 말했다. 미국 소비자가전쇼(CES)에 참석하려고 라스베이거스에 온 그는 6일(현지시간) 벨라지오 호텔에서 한국 기자들과 만나 “3∼5년 안에 승부를 내야 미래 생존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질문 주제별 답변 내용.

◆스마트폰이 승부처=스마트폰과 인터넷에 연결돼 각종 실시간 정보를 받는 스마트 TV가 나오는 등 ‘스마트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단순히 디바이스(기기)를 잘 만드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패러다임이 바뀌는 격변의 시기다. 중국 등 새 경쟁자가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어 3∼5년 안에 게임이 결정 날 것이다. 휴대전화 시장의 스마트폰 판매 비중이 금액 기준으로 40%에 이른다. 앞으로 100달러 이하의 로엔드(저가품)와 스마트폰으로 시장이 양극화될 것이다. 이에 대한 준비가 올해 안에 잘 되지 않으면 낙오자가 될 수 있다. 스마트폰 분야의 운영체제(OS)는 윈도모바일(WM)을 채용한 제품에 주력해 왔지만 올해부터는 안드로이드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겠다. OS 자체가 콘텐트 경쟁력을 담보하는 건 아니지만 (자체 플랫폼과 콘텐트 시장을 갖춘 노키아·애플 등과 경쟁하려면) 안드로이드를 만드는 구글의 콘텐트에 편승하는 것이 현재로선 유일한 대안 같다.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미 소비자가전쇼(CES)에서 6일(현지시간) 사진기자들이 LG전자가 내놓은 두께 6.9㎜짜리 인피니아 TV를 촬영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AFP=연합뉴스]

◆올해 경영계획=원-달러 환율을 1150원을 기준으로, 59조원의 매출을 목표로 삼고, 3조6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는 연구개발(R&D)에 2조1000억원을, 태양전지 등 시설투자에 1조5000억원을 배정했다. 3년간 글로벌화와 기업 체질 강화에 진력해 기반을 닦았으므로 앞으로는 매년 두 자릿수 매출 성장과 20% 이상의 투자대비수익률(ROIC)을 내는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경기가 완만히 상승하면서 시장환경은 나아졌지만 불황 때 몸을 가볍게 한 선두 주자들 간의 경쟁 강도는 높아질 것이다. 비상경영 체제는 풀었지만 그 기조는 유지하겠다. 다만 인력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중심으로 지난해(1000명 선)보다 많이 채용할 계획이다.

◆외국인 영입전략=주요 부문 최고책임자(CXO)들을 대부분 외국인으로 채우는 전략은 일부 부작용도 있었지만 문제가 완화되고 있다. 외국인 책임자가 맡은 구매나 공급망 관리 등이 큰 발전을 했다.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지난해 말 이후 6개 해외법인장을 현지인만으로 임명했다. 차기 법인장 감인 최고운영책임자(COO)로도 대거 발탁했다. 하이닉스반도체 인수 문제는 누차 밝혔지만 관심이 없는 게 아니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라스베이거스=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