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상봉] 90년이후 북한서 992명 남한 방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15일 이산가족 북측 방문단 1백51명이 서울을 방문함에 따라 1990년 이후 남쪽 땅을 밟은 북한사람은 모두 9백92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1990년 9월 제1차 남북 고위급회담 때 연형묵(延亨默)전 정무원 총리가 북측 대표단과 함께 서울을 방문한 이래 올 6월말까지 15차례, 8백41명이 방한했다.

정부는 북측의 방한신청을 딱 한 차례 거부한 적이 있다.90년 2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회에 참석하려던 조선기독교도연맹 서기장 고기준 목사 일행 10명이었다.

북한주민의 주요 방한 사례로는 ▶남북 고위급회담(90~92년)▶남북 통일축구대회(90년)▶제6회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남북 단일팀 평가전(91년)▶김달현(金達玄)정무원 부총리 일행의 산업시찰 방문(92년) 등이 있다.

그러나 93년 두만강개발 계획 관련 통신분야 전문가 회의와 자원.산업.환경분야 전문가회의를 마지막으로 94~98년까지는 단 한명도 오지 못했다.김일성(金日成)주석 사망과 핵 문제 등 남북관계 경색이 원인이었다.

북측의 남한방문은 지난해 12월 제2차 통일농구경기대회 참가차 선수 등 62명이 서울에 옴으로써 재개됐다.올해엔 평양학생소년예술단(5월).평양교예단(6월) 등 2백4명이 방한했다.

목적별로는 ▶경제 4건(19명)▶문화예술 3건(2백37명)▶체육 3건(2백10명)▶고위급회담 4건(3백60명)▶기타 1건(15명) 등이다.

한편 남한주민의 방북은 금강산 관광을 제외하고도 남한을 방문한 북한주민의 10배가 넘는다.

98년 국민의 정부가 '정경분리 원칙' 을 표방하면서 기업인 등의 방북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 90년 이후 99년 말까지 북한을 방문한 남한주민은 1만1천3백21명이며 98년 11월 시작된 금강산 관광객만도 올들어 20만명을 넘어섰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