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검문·검역소 설치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경의선(京義線) 복원구간의 비무장지대(DMZ) 남북한 지역에 각각 경계초소 형태의 검문.검역소나 역사(驛舍)를 만들어 이를 공동 관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경의선이 복원될 경우 남북을 오가는 열차에 대한 검문.검역이 반드시 필요하다" 며 "오는 29~31일 평양 제2차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검문소 및 역사 건립 문제를 제기할 방침"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검문소 등에는 우선 군 경계병력이 배치될 것으로 보이지만 물동량이 확대되면 출입국관리사무소 성격으로 확대될 수도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DMZ 지역이 유엔사 관할인 점을 고려해 현재 유엔사와 이 문제를 협의 중이며 유엔사측도 그 필요성을 인정,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은 판문점이나 통일부장관이 지정하는 특정지역에 '출입장소' 를 두도록 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신원 확인.휴대물품 검사.검역 등의 업무를 맡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국방부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DMZ 내 경의선 복원구간의 지뢰 제거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철도가 단절된 문산 선유리~장단역 12㎞ 중 남측 복원구간 주변 7만3천여평 지대에 야전공병부대 2개 대대와 지뢰탐지 특수병력 1천여명을 투입, 작업을 벌일 계획" 이라고 말했다.

군 당국은 현재 1백55마일 DMZ 전 구간에 약 1백만여발, 이 가운데 경의선 복원 구간에는 10만여발의 지뢰가 묻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방부는 이밖에 굴착기.덤프트럭 등 중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중(重)야전공병단 2개 대대 1천여명을 투입, 경의선 복원구간의 철로 노반 다지기 공사도 벌일 계획이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