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장관급회담 논의 내용] 8·15 화해주간 설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남북이 분단 사상 처음으로 8.15 광복절 남북화해 주간을 설정키로 합의한 것은 당장 가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남북한 정치.사회적 정서를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초 남측이 이번 회담을 준비하며 이런 의제를 구상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관계당국이 해마다 8.15에 즈음해 열리는 남북 공동행사를 껄끄럽게 여겨왔던 점에 비춰 '화해 주간' 설정안을 북측이 제의, 남측이 호응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함께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했지만 남북화해 주간 행사가 판문점에서 남북한 공동으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오지철(吳志哲)문화관광부 문화정책국장은 "아직 장소와 행사기간.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며 "북측에서는 화해 주간을 오히려 정치적 행사로 보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행사가 문화행사로 진행될지는 불투명하다" 고 말했다.

현재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와 한총련.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등은 광복절에 즈음해 '6.15 공동선언 관철과 민족의 자주.대단결을 위한 2000년 통일 대축전' (가칭)과 '휴전선 평화통일 대행진'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오는 10월 레바논에서 열릴 아시안컵 축구대회 단일팀 구성과 시드니올림픽 공동입장, 내년 세계 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구성, 경평(京平)축구대회 부활 등 체육교류 문제도 이번 회담에서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시드니 올림픽 공동입장에 대해서는 북한측이 국제올림픽조직위원회를 통해 "굳이 양측 국기를 앞세우고 입장해야 하느냐" 며 국기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해 온 상태다.

또 오는 광복절엔 평양과 판문점.서울을 잇는 삼원 생방송과 평양교향악단의 서울 공연이 실현된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