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도 의약분업…저소득층 걱정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고혈압 치료를 위해 5년 전부터 매주 보건소를 찾는 김대섭(67.충남 천안시 쌍용동)씨는 의약분업이 실시된 지난 1일부터 걱정이 크게 늘었다.

의약분업이 실시되기 전에는 보건소에서 무료로 진료를 받고 약도 공짜로 얻었으나 지금은 약국에서 돈을 내고 약을 사야 하기 때문이다. 金씨는 "보건소와 약국을 따로 가야 하는 것도 불편하지만 1주일에 한번씩 약국에 갈 때마다 8천여원의 약값을 내는 게 부담이 된다" 고 말했다.

의약분업이 시행되면서 지난달까지 일선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 무료진료와 투약 혜택을 받아 온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과 생활보호대상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부분 지방자치단체들은 그동안 복지시책의 일환으로 보건소를 이용하는 생활보호대상자 등에게 진료비와 약값을 면제해왔다.

그러나 보건소도 의약분업 대상에 포함되면서 약값 부담이 불가능해졌다. 다만 보건소 진료비만 면제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보호대상자라 하더라도 보건소 처방료 5백원과 약품 조제료(8천5백20원)의 30%, 약값의 30%를 본인이 내야 한다.

보건소 관계자는 "복지 증진 차원에서 실시하던 무료진료의 취지를 살려 약값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