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절반이상 빚갚는데 사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지방자치단체들의 빚이 자체 수입에 비해 갈수록 비중이 높아져 위험수위에 이르고 있다. 1999년 시.도별 연간 지방세 수입 대비 지방채 상환액 비율은 강원이 89.2%로 가장 높은 것을 비롯,

▶광주(80.4%)▶경남(77.1%)▶부산(69.9%)등 9개 지자체가 50%를 넘었다. 걷는 지방세의 절반 이상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는 셈이다.

각종 세외수입과 교부세를 합칠 경우에도 ▶부산(49%)▶광주(54.5%)▶강원(42.8%)▶전남(44.1%)▶경남(53.6%)▶제주(41.1%)등 6개 시.도는 40%를 넘었다.

2백32개 기초자치단체를 포함하면 총 부채규모가 97년 15조1천억원에서 99년 17조6천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상환액도 97년 3조2천억원에서 99년 4조2천억원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서울시의 경우 지방세 수입 대비 상환액 비율이 38.2%에서 11.2%로 크게 낮아졌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전북 무주리조트에서 한국지방재정학회 주최로 열린 '지방재정 발전방향' 에 관한 세미나에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조기현(曺起鉉)박사가 발표한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선방안' 이란 주제논문에서 밝혀졌다.

曺박사는 "중앙정부의 승인 심사를 강화해야 하며, 부채규모가 자치단체의 상환능력을 초과할 경우 단체장과 해당 공무원에 대한 제재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고 말했다.

무주〓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