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 교량들도 염분 피해 극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바닷가에 설치된 교량들도 염해(鹽害)를 앓고 있다. 파도와 바람에 실려온 염분이 콘크리트 속으로 침투해 철근을 부식시킴으로써 수명을 단축하고 안전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당국과 건설업체들은 비래(飛來·날아옴)염분 피해의 심각성을 간과한 채 내염(耐鹽)처리를 소홀히 하고 있어 곳곳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장 해상교량인 서해대교의 경우 완공도 되기 전에 곳곳에 다량의 염분이 침투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서해대교〓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8년째 공사가 진행 중인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충남 당진군 송악면 사이의 다리.

중앙일보가 입수한 서울대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의 '서해대교 콘크리트의 깊이별 염화물량 측정 보고서(2000년 2월 14일)' 는 "서해대교 57번 교각 4m 높이에서 산(酸)가용성 염분이 0.393(7.5㎜ 깊이)~0.165%(22.5㎜ 깊이), 수용성 염분량이 0.371~0.142%가 검출됐다" 고 밝혔다. 이는 KS 허용치 0.013%의 최고 30배가 넘는 양이다.

사장교 주탑(主塔) 40m 높이에서도 0.02%의 산가용성 염분이 나와 이미 다리 전체에 상당량의 염분이 침투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철근까지 불과 3㎝에 불과한 교각 윗부분의 경우 앞으로 3~4년 후에는 염분이 철근에 도달하고 15~16년 후에는 철근이 부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기타 교량〓충남 당진군 당진읍 삽교방조제의 20년 된 교량은 측면 슬래브 콘크리트가 군데군데 떨어져 있고 삐죽삐죽 나온 철근은 녹슬어 있다. 바닷바람에 섞여 있는 염분이 콘크리트를 뚫고 철근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줄포교·섬진강교·부용교·변상교·동진강교 등 다른 서남해안가 다리들도 하나같이 철근에 팽창성 녹이 발생, 육안으로도 단면 손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을 정도다.

지금은 교통이 통제된 전북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 구(舊)만경대교 옆에 10여년 전 새로 놓인 만경대교. 이곳 역시 한양대 콘크리트연구실이 조사한 결과, 염분 침투로 교각 하부는 앞으로 3.84년, 상부는 2.74년이면 철근 부식이 나타날 것으로 나타났다.

◇ 소홀한 대응〓교량 중 바닷물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는 물보라를 받는 곳이고 다음이 물보라 바로 윗부분의 해상대기부다.

도로공사는 물보라 부위의 경우 일부 교각에만 내염도장을 했을 뿐 해상대기부에는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서해대교 건설 관계자는 "97년 이후 내염재료 성능에 대한 논란이 일어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 앞으로 콘크리트학회에 의뢰,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겠다" 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상당량의 염분이 콘크리트 속으로 스며든 것으로 나타나 전문가들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치밀한 예방대책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별취재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