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경금지' 조치 폐기 위기 놓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멸종위기에 빠진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포경금지 조치가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BBC는 4일 전세계의 고래잡이를 규제하는 국제포경위원회(IWC)가 일부 회원국들의 이탈 움직임으로 와해될 위기에 처했고, 지난 14년간 유지해온 상업적 포경 잠정금지 협약이 강제성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노르웨이.캐나다.그린란드.아이슬랜드 등이 포경금지 철폐를 요구하기 위해 결성한 북구연맹(NHA)의 한 관계자는 이날 호주에서 열린 국제포경위원회 연례회의에서 "회원국들이 이 위원회에서 이탈할 계획을 갖고 있다" 고 밝혔다.

북구연맹은 또 국제포경위원회의 포경규제 기능을 포경 허용에 비교적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북대서양 해양포유류위원회(NAMMCO)에 넘길 것을 요구했으며 일본에 국제포경위원회에서 탈퇴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이날 연례회의에서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제출한 고래 보호구역 확장안이 부결됐다. 호주와 파푸아 뉴기니 연안을 잇는 1천2백만㎢ 넓이의 지역에 보호구역을 신설하려다 회원국들의 반대로 무산된 것이다.

이는 그동안 보호구역 지정 반대움직임을 주도해온 일본에 승리를 안겨준 것으며 BBC는 일본이 도미니카.그레나다 등 중미국가들에 경제지원 약속등 로비 의혹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은 '과학연구용' 이라고 주장하며 매년 5백여마리 밍크고래를 잡고 있다.

또다른 포경 국가들도 최근 "고래가 충분히 늘어났다" 며 포획량을 늘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레이 갬벨 국제포경위원회 사무관은 "상업적 포경금지 조치를 해제하지 않을 경우 기구 자체가 와해될 수 있다" 고 말했다.

이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