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신문활용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우리 나라의 학교 교육은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건강한 사람.자주적인 사람.창조적인 사람.도덕적인 사람을 지향하고 있다. 이 모두 가치관 교육을 통해 이뤄져야 할 인간상이다.

그러나 현장 교육이 지식과 기술 습득에만 치우치다 보니 가치관 교육은 뒷전으로 밀려 있는 게 현실이다.

또 가치관 교육을 위한 뚜렷한 방향과 정해진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교사들은 막막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서울 동북고등학교 권영부(40) 교사는 신문을 활용한 교육(NIE)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신문의 기사나 만화.사진 등을 활용해 다양한 감동을 주고, 무엇이 바람직한가를 느끼게 하는 게 이 교육의 핵심이다. 여기에 적절한 이벤트로 재미를 곁들이면 옹골찬 성과를 낼 수 있다.

◇ 가치관 경매

학생들이 삶의 가치를 돌이켜 보고, 다른 학생들의 가치관도 살피면서 진지한 삶의 자세를 갖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①교사가 신문에서 결혼.권력.우정.지식.가정 등 학생들의 관심 분야 20가지 정도를 오려 눈에 띄는 곳에 게시해 놓고 일주일 동안 수시로 읽게 한다.

②학생들에게 1백만원씩 할당하고, 경매를 통해 게시된 기사 스크랩 중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가 담긴 기사를 사도록 한다. 이 때 한 기사에 자금을 모두 투자하지 않도록 한다. 응찰가를 높일 때는 2만~3만원 단위로 한정해 입찰이 치열해지도록 유도한다. 교사가 중매인 역할을 하고 중매인 특유의 말투나 몸짓을 흉내내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③낙찰한 학생의 가치관을 다른 학생들도 공유할 수 있게 응찰 이유를 꼭 공개한다.

또 경매에서 탈락한 학생들을 위해 2차 경매를 하거나 학급회의 때 각자의 가치관을 발표할 기회를 준다.

◇ 경구(警句) 형식의 학급 문집

감동적인 기사나 사진.광고 등을 스크랩해 돌려 보면서 느낀 점을 경구로 표현해 학생 서로의 가치를 느끼게 하는 프로그램. 스크랩한 기사를 B4 크기의 용지에 붙이고, 여백에는 자신의 생각을 경구 형식으로 적게 한다.

매일 반복시키면 싫증 내기 쉬우므로 일주일에 두세 건이 적당하다. 1년 동안 이렇게 한 것을 묶어 학급 문집을 만들면 또 다른 교육 효과를 볼 수 있다.

◇ 기사 스크랩 활용

①학생에게 스크랩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신문의 기능엔 시민의 교사 역할이 있다. 독자를 이해시키고 가르치며 용기를 주는 것이 그 것이다. 실제로 IMF 관리체제 이후 신문에는 그 이전보다 미담.봉사활동.역경을 이겨낸 사람 등에 관한 기사가 많이 보인다.

신문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 소극적인 학생에게는 진취적인 사람의 기사를, 도덕성이 부족한 학생에게는 올바른 가치 판단 등에 관련된 기사를 스크랩하게 해 내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②교사가 기사 파일을 만들어 지도하는 방법〓특별한 지도가 필요한 학생은 대화로 푸는 것이 좋으나 요즘 학생들은 교사와 접촉하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

이 때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기사 파일로 만들어 학생에게 읽도록 해 반성의 기회를 삼도록 하는 활동이다. 교사가 스크랩한 기사 내용을 e-메일로 전달하는 방법도 설득력이 있다.

◇ 신문 사진 활용

①남이 보는 나〓신문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인물 사진을 오려내 백지에 붙인 후 여백에 원 두 개를 그린다.

한쪽 원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이유를 적게 하고 다른 원에는 친구들이 좋아하는 이유를 적게 해 자기 존중과 상대방 존중의 가치를 알게 한다.

②인내로 성공한 사람〓각 학생들이 신문에서 인내심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물의 사진을 오려내 '그 이유를 적고, 학생 각자 고른 인물을 '백지에 붙이고 선정 이유를 적게 한다.

이들 중 10명을 학생들끼리 합의해 고른 뒤 투표를 통해 최고의 인물을 결정한다. 득점 순으로 10명을 다시 배치한 다음 이들이 인내로 성공한 과정을 정리한다.

◇ 인간에 대한 이해와 보고서 만들기

신문에서 동물.식물.컴퓨터 등 인간과 비교할 대상을 임의로 골라 공통점 등을 알아본 뒤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살피면서 사람마다 다양한 시각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는 활동.

▶보고서 작성

①비교 대상 하나를 고른 후 인간과 공통점 30가지를 적는다.

②비교 대상보다 인간이 잘난 점 15가지를 적는다.

③비교 대상보다 인간이 못난 점 15가지를 적는다.

④공통점 10가지, 잘난 점 5가지, 못난 점 5가지를 활용해 '인간은 무엇인가' 라는 주제로 논술한다.

▶보고서 평가

사람과 비교 대상의 공통점.잘난 점.못난 점을 제대로 이해했는가, 문맥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가 등을 상.중.하 3단계 정도로 평가한다.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