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남북시대] 해외 주요 언론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외국 언론들은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남북공동선언문에 서명한 사실을 일제히 주요 기사로 보도했다.

외신들은 합의문 내용이 획기적이며 한반도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55년 동안 깊게 팬 골을 메우는 일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朝日).요미우리(讀賣)등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15일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와 5개항 공동선언을 일제히 통단 컷의 1면 머릿기사로 보도하면서 4~5개면을 할애해 해설기사 등을 실었다.

일본의 주요 일간지들이 외국 소식을 특대호 활자의 1면 통단으로 보도하는 일은 드물다.

이들은 "냉전 종결 후 세계가 주시한 정상회담은 21세기를 목전에 두고 남북화해와 통일을 향한 새로운 시발점" 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의 신화통신은 14일 밤 평양에서 긴급타전한 기사에서 이번 남북 공동선언을 '역사적인 합의서' 라고 표현하면서 "남북관계의 원칙을 담고 있다" 고 소개했다.

미국의 워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는 정상회담 소식을 1면 머릿기사 등으로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남북한이 협력에 합의했다' 는 제목의 기사에서 '양측이 반세기에 걸친 대결에서 한발 물러나 통일을 위해 함께 일하기로 했다' 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미 민주주의의 영웅으로 지위를 굳힌 金대통령이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경계를 사이에 둔 남북 양측간의 대화를 복원함으로써 한국 현대사에서 거대한 변화의 힘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하다" 고 평가했다.

미국 CNN은 14일 남북한 정상이 획기적인 합의를 이뤘다고 보도하면서 "양측은 모든 분야에서 이해를 이끌어냈다" 는 박선숙(朴仙淑)청와대 부대변인의 말을 인용했다.

프랑스 TF1-TV는 '남북 공동선언 발표는 화해의 조심스런 시작' 이라고 평가하면서 이제 서로의 간격을 줄이는 힘든 작업이 남았다고 전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15일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의 오랜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가 한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칠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일간 이즈베스티야는 김정일 위원장이 이번 회담을 계기로 국제무대에서 새로운 역할을 떠맡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9월 유엔에서 열리는 ‘새천년 정상회담’에 참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모스크바·워싱턴.뉴욕.도쿄.베이징.파리〓김진.신중돈.오영환.유상철.이훈범 특파원, 외신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