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사? → 대통령? → 서울시장?…민주당, 유시민 때문에 헷갈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친노무현 세력이 주축인 국민참여당은 지난 15일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천호선 전 청와대 대변인을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공식화한다고 발표했다. 당원들 사이에 공론에 부쳐 둘 중 한 사람을 후보로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양순필 공보실장은 이 같은 방식에 대해 “두 사람의 동의를 거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야권 내 파이 배분을 두고 참여당과 긴장 관계에 놓인 민주당에선 “전형적인 성동격서(聲東擊西) 전략”(수도권 재선 의원)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이런 반응은 유 전 장관의 일련의 발언과 행보 때문에 나온다. 지난달 22일 참여당 서울시당 창당대회에서 그는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꾸는 대통령을 다시 만들자”며 “내가 할 수 있으면 하고 내가 못하면 할 수 있는 사람과 힘을 합쳐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부 언론이 그의 대권 출마설을 보도하자 그는 다음 날 한 토론회에 참석해 “지금 (대선) 출마계획을 갖고 있는 건 아니다”고 발을 뺐다. 그러면서도 “저는 헌법과 법률상 피선거권을 가진 사람이 아니냐”며 가능성은 열어뒀다.

지난달 10일 유 전 장관이 참여당에 입당하기 전까지 가장 유력한 전망은 경기도지사 출마설이었다. 그는 지난해 총선에서 고향인 대구(수성을)에 출마했다가 주호영 특임장관(한나라당)에게 낙선했다. 그러다 올해 초 경기도 고양시로 다시 주소지를 옮겼다. 입당 직후엔 “서울에 거처를 물색 중”이라는 소문과 함께 서울시장 후보 내정설이 돌기도 했다.

이런 종잡을 수 없는 행보에 민주당은 불편한 기색이다. 한 재선 의원은 “천 전 대변인을 끌고 들어간 건 간판인 유 전 장관의 퇴로를 열어두려는 것”이라며 “유 전 장관 입장에선, 민주당에 시장 후보감이 뚜렷하지 않은 지금이 세간의 주목을 끌어 야권 내 협상력을 높이기엔 좋은 타이밍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