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자금지원 어떻게 하나] 국내에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논란이 되고 있는 행정자치부의 민간지원기금은 시민단체들에 '한바가지 물' 은 될 수 있으나 갈증을 해소하는 '단비' 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우선 지원금을 받는 단체가 전체의 5%에도 미치지 못한다.

금액 또한 지역단체의 경우 3백만~5백만원 정도의 '푼돈' 에 지나지 않는다. 수만개의 크고 작은 공익재단들이 시민단체들을 지원하는 서구 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경우 손으로 꼽을 정도다. 지원 또한 아직 '준비 중' 인 상태다.

시민단체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최초의 민간기금은 1994년 창립된 시민단체지원기금(이사장 이세중). 그동안 연간 두차례씩 전국 1백여 시민단체에 약 9억원을 지원했다.

시민단체지원기금 이인경 부장은 "차세대 시민운동 지도자 연수나 포럼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기금이 턱없이 부족한 형편" 이라고 말했다.

이 재단은 한국시민단체협의회 등과 공동으로 ▶자기소득의 1%를 소외된 이웃과 사회발전을 위해 내놓기▶1주일에 1시간 자원봉사하기▶한개의 시민단체에 회원되기 등 '1%나눔운동' 을 전개하며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3백여명의 사회저명인사가 참여해 발족한 한국여성기금은 여성을 위한 한국 최초의 공익재단법인이다.

박영숙 여성기금 집행위원장은 "남녀가 평등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 지원 및 소외계층.여성운동 지원 등과 함께 '여성의 전당' 도 건립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가 이달 말께 발족 준비 중인 '아름다운 재단' 은 미국의 지역재단을 모델로 하고 있다.

아름다운 재단은 ▶힘들고 고달픈 풀뿌리 서민을 위한 인도적 기금▶소외받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격려기금▶공익을 위해 뛰는 작은 다윗을 위한 응원기금▶아름다운 내일의 꿈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을 위한 기금 등으로 분류해 운영할 계획이다.

기탁자가 기부금이 사용될 곳을 지정하면 재단은 그 목적에 맞게 수혜자나 공익단체에 전달하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