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검증 무서워" 무소속 급격 퇴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16대 총선 후보 등록 결과 두드러진 특징은 무소속의 퇴조다.

15대 때의 3백94명에서 2백2명으로 줄었다.

거의 절반 수준이다.

전체 출마자 중 무소속의 비율도 15대의 25%에서 19%로 뚝 떨어졌다.

선거 사상 처음으로 신상검증 장치가 도입된 때문으로 보인다.

인터넷을 통해 후보의 모든 것이 발가벗겨지는 이른바 '클릭정치' 의 위력이다.

클릭 한번으로 본인과 아들.손자의 병역기록, 납세실적과 전과까지 모두 세상에 공개되는 달라진 환경이 무모한 도전에 쐐기를 박은 셈이다.

"사생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작은 비리도 까발려질 수 있다.

당선에 확신이 없는 비정당권 정치지망생들에게 '이런 위험을 무릅쓰고 모험할 이유가 없다' 는 인식이 퍼진 것 같다" 는 게 선관위 관계자의 분석이다.

지역구도가 강하게 드러난 것도 무소속 출마를 멈칫거리게 하는 요인이다.

특정지역에서 특정정당의 간판을 달지 않고는 당선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실상 동서로 나뉜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2강(强) 대결구도 속에서 자금.조직력이 열세인 무소속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새가 그만큼 적어졌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한 재미있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15대 때만 해도 무소속 출마자의 비율은 영남지역에서 높게 나왔다.

대구에선 후보 1백4명 중 절반인 52명이, 경남.북지역은 2백63명 중 1백11명(42%)이 무소속이었다.

반면 광주.전남에선 98명 중 23명(23%)에 불과했다.

이번엔 반대다.

전남.북 출마자 99명 중 절반이 넘는 45명이 무소속이다.

영남에선 2백13명의 후보 중 무소속은 56명(26%)에 불과했다.

역전현상이다.

공탁금이 1천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오른 것도 난립을 막은 한 이유가 됐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