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병원 집단휴진 없을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네 의원들의 무기한 집단 휴진과 병원들의 의약분업 시범사업 강행 방침이 29일 저녁 전격 철회돼 '의료 대란' 을 피하게 됐다.

김두원(金枓元)대한의사협회장 등 의료계 집행부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의 면담을 마친 직후인 29일 오후 7시30분 의협회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30일부터 돌입하기로 했던 무기한 휴진 방침을 철회한다" 고 밝혔다.

또 대한병협(회장 盧寬澤)도 30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사흘간 병원 외래환자에게 투약없이 원외(院外)처방전만 발행하는 시범사업 시행 방침을 철회했다.

또 21일부터 벌여온 김재정(金在正)의권쟁취투쟁위원장 등 의료계 집행부의 단식농성도 풀기로 했다.

이에 앞서 金대통령은 29일 오후 5시부터 대한병협.대한의협 회장과 김재정 위원장을 청와대로 불러 의료계의 의견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金대통령은 ▶의사들이 소신 진료를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의약분업 시행 때 의료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의협 조遮?曺相德)공보이사는 "金대통령이 의약분업 과정에서 의료계의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고 의료계도 선진적인 의약분업을 이루기 위한 입장을 충분히 전달한 만큼 정한 대로 따라오라는 식의 정부 자세가 바뀔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료계는 의약분업 실행위원회 등을 통해 ▶의보수가 조정▶약사의 임의조제 근절▶약화사고 방지대책 등 의약분업 후속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차흥봉(車興奉)보건복지부장관은 이날 오전 전국 의사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통해 "의약분업 감시기구를 통해 약사의 임의조제를 철저히 금지하고 다양한 재정 지원 방안을 추진할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실련.참여연대.YMCA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YMCA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계가 국민 건강을 볼모로 삼아 명분 없는 집洑碩오?감행하려는 데 우려를 금할 수 없다" 며 "의협과 병협은 휴진 공조투쟁을 즉각 중지하라" 고 촉구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