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재 불법복제 판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전주J대 경영학과 3년 朴모(26)씨는 신학기의 교재들을 같은 과 학생들의 절반가량인 10여만원으로 해결했다.

원본이 아니라 복제본들을 산 것이다.

그는 "불법이란 걸 알지만 훨씬 경제적인 데다 구하기도 어렵지 않아 교재 대부분을 복제본으로 장만했다" 고 말했다.

책의 무단 복제 등 저작권 침해에 대한 단속이 심해졌음에도 대학가에 여전히 불법 복제 교재들이 판치고 있다.

28일 전북대.원광대 등 도내 대학 학생들에 따르면 학교 주변 복사집 등에서 교재 원본을 직접 복사.제본하거나 다른 곳에서 복제한 것을 떼어다 팔아 별 제약없이 구입할 수 있다.

이들 복제본은 주로 교수들이 교재로 채택한 전공과목의 것들로 값이 원본보다 30~40%가량 싸다.

K출판사의 무역학 교재의 경우 원본은 정가가 5만원이나 복제본은 3만원밖에 안된다.

특히 외국 원서의 경우 책값이 보통 7만~8만원이나 되고 파는 곳이 적어 구하기 힘들면서 복제본이 더 많이 나돌고 있다.

복사집들은 복제본을 한꺼번에 20~40권씩 만들어뒀다 학생들에게 공공연히 팔고 있다.

또 일부 학생들은 10여명씩 팀을 짜 도서관 등에서 교재를 빌려 단체로 복사해 쓰고 있다.

익산 W대 무역학과 2년 趙모(25)씨는 "복제본이 없거나 구하기 힘들면 비싸더라도 원본을 사 볼텐데 그렇지 않아 법에 어긋나는 줄 알면서도 복제본을 사고 있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학가 서점 주인들은 "서점 고객들을 복사집 등에서 빼앗아가고 있다" 며 "출판협회 등 관련 기관단체들이 복제본에 대한 단속을 더욱 철저하게 해야 한다" 고 밝혔다.

전주〓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