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형 금전신탁 만기… 자금시장 일시적 불안 요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3면

다음달 12일부터 은행권의 단위형 금전신탁 만기가 돌아옴에 따라 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려되고 있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판매한 단위형 금전신탁은 폐쇄형 상품이기 때문에 만기가 돌아올 경우 청산해야 한다.

따라서 각 은행은 만기 이전에 신탁자금으로 사들였던 주식이나 채권을 정리하고 고객에게 현금으로 돌려주기 위한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단위형 신탁 잔액은 모두 15조7천억원이며 이 가운데 34.4%인 5조4천억원이 4월 중 만기가 된다.

또 5월에는 3조원어치의 만기가 도래하는 등 2분기에만 전체의 62.4%인 9조8천억원의 단위형 신탁이 만기가 된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만기에 대비해 상당량의 주식과 채권을 정리해 콜.양도성예금증서(CD).기업어음(CP)등 중.단기물에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은행은 수익률을 못채워 아직도 보유주식이나 유가증권을 정리하지 않고 있어 4월 이후 이 물량들이 증시에 나올 경우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단위형 신탁이 한꺼번에 대규모로 만기가 돌아옴에 따라 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면서 "무엇보다 만기된 자금이 재유치가 안되고 인출될 경우에는 금리상승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고 지적했다.

한화경제연구원 박혁수 선임연구원도 "단위형 신탁의 만기청산시 펀드에 편입돼 있는 물량이 시장에 나올 수밖에 없고 청산자금의 이동에 따른 마찰효과로 직접금융 시장의 일시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임봉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