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골묘는 또 다른 환경오염 원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묘지에 의한 산림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납골묘 지원책이 또 다른 환경오염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충북도사회복지협의회 주관으로 최근 청주노인종합복지회관에서 열린 장례문화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한규량 청주과학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정부나 지자체가 장묘 문화 개선을 위해 시범 납골묘 설치 지원사업을 펼친 결과 화장률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규모 납골 시설의 잇단 건립으로 또 다른 환경오염 문제를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에 따르면 1971년 7% 수준이었던 우리나라 화장율은 2002년 42.6%로 크게 높아졌으며,보수성향이 강한 충북지역 역시 2002년 화장율이 24.6%에 달했다.

또 충주화장장(3만6000기)을 비롯해 ^옥천(7700기) ^제천(1만기) ^진천(8000기) ^청주 (1000기) 등 도내 주요 화장장에는 대규모 납골당이 잇따라 건립되고 있다.

한 교수는 ”정부는 화장을 한 뒤 즉각 산골(散骨·유골을 그대로 흙에 뿌리는 것)하기를 꺼리는 후손들의 정서를 감안해 과도기적으로 납골묘를 설치케 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새로운 혐오시설 양산과 산림훼손 등을 유발해 묘지보다도 많은 문제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납골묘 설치 지원사업은 ‘묘지강산’을 ‘납골강산’으로 대체하는 것일 뿐 장묘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화장한 뒤 산골할 경우 장려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납골묘 조성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화장한 뼛가루를 나무 그릇에 담아 나무나 꽃 아래 묻어 자연 산화하도록 하는 ‘수목장’(樹木葬),화장한 후 산골하고 별도 장소에 고인의 위패(位牌)만 모시는 방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