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준비 프로그램이 뭐길래

중앙일보

입력


2년전 재수 중이던 김진혁(가명)씨는 수능 성적이 좋지 않아 삼수를 할 지 지방대로 진학할 지 고민했다. iBT TOEFL 점수도 55점으로 낮아 해외 대학 진학은 엄두를 내기 어려웠다. 그러나 1년 동안 미국 현지에서 준비를 한 후 올해 초 UCLA를 포함, 미국의 6개 대학에 동시 합격했다. 최근엔 김씨처럼 아예 미국 현지에 가서 장기간 미국 대학 진학 준비를 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을 위한 유학 프로그램도 개발됐다. CPP(College Prepatory Program미국 대학 준비 프로그램)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시그마에듀케이션 김형범 대표는 “미국 대학에서는 국내 고교 성적은 여러 평가 요소 중 하나일 뿐, 그것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는다”며 “학업 성적 외에 다른 부문의 강점과 미래의 가능성을 부각시키는 전략으로도 충분히 진학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입학사정관제 올바르게 이해해야

미국 대학은 오래전부터 입학사정관제를 도입, 지원자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학생을 선발해왔다. 입학사정관이 모든 권한을 위임 받아 고등학교내신시험점수(iBT TOEFL·SAT·ACT)에세이추천서과외활동 등 지원자의 모든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에세이와 추천서에서 드러나는 지원자의 경험과 잠재력에 주목한다. 학생이 열정을 가지고 노력하는 분야가 있는지, 있다면 무엇을 배웠는지 등 배움에 대한 열정과 자기세계를 중요하게 본다. 에세이의 주제가 농구·노래 등의 클럽활동 이라 해도 지원자의 적극성과 열정가치관을 제대로 표현한다면 훌륭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분야가 부족해도 다른 부분의 강점과 잠재력을 강조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김 대표는 “한국에서는 학생이 춤노래등에 빠지면 공부 안하는 문제아로 생각한다” 며 “시험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같은 학생이 미국 대학에서는 꿈과 열정을 가진 훌륭한 인재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시험관리영어학습클럽활동 등 종합 멘토 프로그램

시그마에듀케이션의 CPP 교육과정은 명문 보딩스쿨의 시스템을 적용해 학생의 하루 일과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하루 7시간의 분야별 영어교육과 훈련, 2시간의 관심분야 계발을 위한 클럽활동과 봉사스포츠 활동을 병행한다. 10~12개월 동안 영어 학습, TOEFLSAT 등 시험점수 획득, 관심분야 계발로 비교과 관리 등 미국대학입학에 필요한 모든 사항들을 점검하고 진행한다. 또 학생의 적성과 강·약점을 분석, 가장 적합한 학교를 선택해 지원하며, 입학 이후 학교 적응과 진로까지 설계해준다.

이 프로그램은 수 차례에 걸친 학생 심층면담으로 시작한다. 학생의 현재상황·성격·성향을 파악하고,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고 싶은 지 등 관심분야를 찾는다. 춤노래운동 등 관심분야를 CPP교육과정의 클럽활동으로 이어간다.

미국학생들과 같이 하는 클럽활동은 영어 훈련과 자기계발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관심분야에서 흥미를 유발하고, 이것이 자신감으로 발전해 학습의 동력이 된다. 김 대표는 “먼저 학생의 자신감을 회복해 학업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런 학생의 변화과정을 에세이로 압축해 제시하면 학생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잘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 정현진 기자 correctroad@joongang.co.kr >

< 그래픽= 김상하 ssaam@joonang.co.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