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소재 73개 기관·단체 먼저 도청 이전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이상태)가 18일 도공무원교육원에서 행정사무감사를 벌이고 있다.[경북도의회 제공]

“도청 이전에 따른 대구 소재 유관기관·단체 187개소에 대한 이전 계획이 미흡한 것 아니냐.”

경북도의회 박진현(영덕) 의원이 17일 도청이전추진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던진 질의다. 박 의원은 이어 “대구 소재 유관기관·단체의 이전 의향과 희망사항 조사 등 세부 추진계획을 세워 도청 이전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경북도의회가 18일로 사흘째 경북도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벌였다. 도정 전반을 감사하는 행정사무감사 권한은 도의 예산안 심사와 더불어 도의회가 행사하는 양대 권한 중 하나다. 행정사무감사가 진행되는 열흘 동안 거리가 먼 울진·영양 출신 도의원들은 도청 근처 여관에서 묵으며 감사를 준비하기도 한다. 국회가 행정부를 상대로 벌이는 국정감사와 유사하다.

박 의원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는 이날 도청이전추진단의 업무 전반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벌였다.

박 의원의 질의에 도청이전추진단은 “경북도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도 직속기관과 사업소 유관기관·단체 187개소 중 소재지를 대구에 두고 있는 산하·유관기관 단체 73개소를 우선 이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겠다”고 답변했다.

73개소에는 경북도의회와 경북도교육청·경북도지방공무원교육원·경북도소방본부·경북도선거관리위원회·경북지방경찰청·경북체신청 등이 들어간다. 농협·새마을금고·대한적십자사 등도 포함됐다. 도청이전추진단은 또 “경북에 소재지를 두고 있는 유관기관·단체와 대구·경북을 통합 관할하는 유관기관·단체는 자율적으로 이전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도의 재원 확보를 위한 현재의 도청사 부지 처리 방안도 거론됐다.

도청 신청사 건축에 소요되는 사업비는 4055억원. 이 가운데 부지 매입비 871억원을 제외한 신청사 건축비는 3184억원이다. 도청이전추진단은 “어려운 지방재정 여건을 감안해 신청사 건축비 전액을 국비로 지원받기 위해 행정안전부 장관 방문과 국정감사 때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며 “또 관계 공무원이 수차례 중앙부처와 지역 국회의원 등에 지원을 당부 중”이라고 답했다.

관심을 끈 현재 도청사 부지는 “대구시에 매각하거나 국가에서 매입 또는 민간에 매각하는 3가지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답변이 나왔다.

또 도청 이전지는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 문화재 지표조사가 실시돼 ▶발굴 14건(분묘)▶시굴(5건)▶표본(8건)이 발생했으나 문화재 시발굴 조사로 인한 신도시 조성 차질은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상효 의원(경주)은 또 “도청이전신도시 건설위원회와 자문위원회 위원들 중 다른 위원회에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며 “내실 있는 위원회를 운영하라”고 주문했다. 이상용 의원(영양)은 “마스터플랜 공모 등 신도시 비전에 부합하는 우수작을 공모하기 위한 예산이 부족해 공모가 형식에 그치지 않도록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라”고 당부했다. 또 장경식 의원(포항)은 “신청사 건립과 유관기관·단체 이전, 국비 확보 방안, 기업·연구소 유치 등 세밀한 도청 이전 방안을 세워 도청 이전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하라”고 요청했다.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