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들의 공격 그후…] 각국 해킹 '문단속' 부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워싱턴.도쿄.싱가포르 AP.AFP〓연합]야후(Yahoo)공략을 필두로 지난 사흘동안 이어졌던 미국 인터넷 주요 사이트에 대한 해커 공격이 10일 일단 멈췄다.

그러나 미 정부 당국과 세계 주요 인터넷 사이트들은 언제 또 비슷한 공격이 있을지 안절부절하며 대비책 마련에 분주하다.

미국의 주요 인터넷 사이트를 마비시킨 해커들에 대한 수사를 지휘하는 에릭 홀더 미 법무부 부(副)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추적을 벌이고 있지만 현 시점에선 해킹 동기가 무엇인지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고 토로했다.

그는 "이번 해킹으로 인한 업계의 피해와 복구비용만 수천만달러에 이를 것" 이라면서 "해커들은 중대한 범죄자이며 이들을 찾아내 감옥에 보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 이라고 다짐했다.

또 빌 클린턴 대통령은 사이버 범죄에 강력히 대응하기 위해 내년 예산에 3천7백만달러를 추가 편성해 줄 것을 의회에 긴급 요청했다.

추가 편성되는 예산은 ▶컴퓨터 범죄전담 검사 육성▶미 연방수사국(FBI)의 수사능력 증대▶사법당국 지원 등에 배정되는 것이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와 함께 다음주 백악관에서 전자상거래.네트워크 업체 대표.컴퓨터 보안전문가들을 만나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인터넷 인프라 환경이 잘 갖춰진 싱가포르는 국제적으로 해커들의 주요 공격목표가 돼왔기 때문에 이번 사태로 인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소규모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은 보안기술에서 미국의 대형업체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취약하다.

또 회사를 성장시켜야 한다는 목표 때문에 고객들의 방문을 거절할 처지도 아니어서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하지만 싱가포르의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해커 공격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이제 막 싹이 돋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을 위축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일본은 해킹 등을 막기 위해 다른 사람의 ID와 비밀번호를 도용해 컴퓨터 망에 침입하면 처벌받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됐으며 13일부터 시행된다.

일본 경찰청은 또 지난해 4월 사이버 범죄수사 지원단을 구성했고 도쿄(東京)경찰청은 지난 10일 60명으로 구성된 하이테크 범죄 수사단을 출범시켰다.

일본은 최근 행정부 홈페이지들이 해커에 의해 마구잡이로 유린된 바 있어 미국의 대형 사이트들이 당한 해킹을 더욱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유럽 국가들도 이미 다른 사람의 ID를 도용하거나 본인 동의 없이 거래하면 신체 구금형이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