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물 먹었던 기업들' 몸값 높여 코스닥 재도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1면

지난해 코스닥 등록을 신청했다가 자진 철회하거나 기각돼 올해 재신청한 업체들의 공모 희망가가 지난해보다 최고 2.5배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중개시장 운영규정 개정 후 지난 1일 등록 신청을 한 53개 업체 중 지난해 신청이 기각되거나 자진 철회한 11개 업체들의 공모 희망가가 모두 지난해보다 높아졌다.

11개사 가운데 한원.쓰리소프트.에스엠엔터테인먼트 등 3개사는 지난해 등록 신청이 기각됐었으며, 세스컴.유니와이드 테크놀로지.인포피아.평창정보통신.한솔창투.제일창투.인투스테크놀로지 등 7개사는 자진 철회했었다.

나머지 하나는 무한기술투자로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공모를 실시하지 못했다.

이중 인터넷 관련 업체인 인투스테크놀로지는 지난해 비비컴이라는 이름으로 신청했다 감사보고서상의 감가상각 처리 관련 문제를 지적받고 자진 철회한 뒤 올해 이름을 바꿔 신청했으며 공모 희망가도 지난해 주당 2만3천원에서 8만원(액면 5천원 기준)으로 무려 2백47.5%나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공모 희망가 상승률이 그 다음으로 높아진 것은 세스컴.유니와이드테크놀로지로 각각 1백50%에 달했다.

이같은 공모 희망가 급등에 대해 증시 관계자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인투스테크놀로지의 공모를 담당하는 대우증권 관계자는 "이 회사의 매출이 1998년 65억원에서 지난해 1백50억원으로, 순익은 4억원에서 12억원으로 크게 늘어나 이 정도의 공모가 상승은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인기그룹 H.O.T와 S.E.S가 소속된 매니지먼트업체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주간사 관계자도 "지난해 등록신청이 기각됐던 것은 지나친 대주주 의존도와 연예업종에 대한 편견 때문이었다" 며 "공모 희망가가 비록 33% 올랐지만 지난해 실적을 감안할 때 당연하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증시 일각에서는 등록 신청을 철회했거나 기각된 기업들이 공모 희망가를 오히려 올려 재신청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