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Y2K' 비상근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전국에서 발생하는 'Y2K' 문제가 동화상으로 중앙에 보고된다.

또 1만여명의 공무원들이 30일부터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행정자치부는 이날 정부 중앙청사 지하 1층 통신상황실에 16개 시.도를 화상전화 장치로 연결하는 '행정분야 Y2K 비상대책상황실' 을 설치했다.

일선 행정기관이나 지역에서 전산망 장애나 재난이 발생하면 화상전화를 통해 현지상황이 동영상으로 중앙의 대책상황실에 전달된다.

상황실에 구성된 ▶상황 총괄▶인터넷 상황관리▶팩스 상황관리▶부내 상황관리▶복구지원 대책팀은 문제점을 접수받아 전산망 복구와 재난구호 활동을 한다.

정부는 2000년 1월 1일에 컴퓨터의 숫자 인식 오류로 벌어질 수 있는 상황에 대비, 지금까지 모두 여덟차례에 걸쳐 모의 시험과 현장점검을 벌여왔다.

행정자치부 'Y2K 해결팀' 의 金태곤 총괄반장은 "행정전산시스템이 전면 마비되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 이라며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의 작동 오류 등은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하고 있다" 고 말했다.

한편 전국 2백80여개의 행정기관에서 연인원 1만4천여명의 전산.정보 관련 직원들이 이날부터 다음달 3일까지 24시간 철야근무에 들어간다.

또 대형 화재나 Y2K로 인한 각종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 소방관서에 특별경계근무령이 내려졌다.

이규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