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여 통합 고삐당긴 DJ]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金大中.DJ)대통령이 14일 국민회의와 자민련 합당문제의 고삐를 당겼다.

CBS와 인터뷰에서 金대통령은 "올해 말까지 가부(可否)간 결론을 내리겠다" 고 다짐했다.

합당 여부의 결론을 내릴 시한을 제시한 것이다.

결론의 방식은 김종필(金鍾泌.JP)총리.박태준(朴泰俊.TJ)자민련 총재와 상의하는 'DJT 결단' 형식이다.

브라질을 방문 중인 JP의 귀국은 21일이다.

따라서 DJT 논의시간은 열흘 정도밖에 없는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金대통령이 합당논의 시점의 마지노선을 설정한 데는 이 문제를 빨리 매듭짓고 밀레니엄을 맞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이라고 설명했다.

金대통령이 이처럼 서두르는 데는 합당문제의 가닥을 빨리 잡아주지 않고선 내년 4월 총선의 전열정비가 힘들다는 판단이 깔려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지난 9일 안성시장.화성군수 선거에 진 뒤 수도권 출신 국민회의 의원들은 합당문제의 빠른 매듭을 요구해왔다.

이들 의원은 "야당은 이미 물갈이 없이 공천이 대충 완료된 상태인데 우리는 합당이 되는지, 공천이 어떻게 되는지 정치일선이 혼선상태" 라며 불만을 표시해왔다.

특히 金대통령이 의지를 담아 힘있게 이 문제를 제기한 데는 JP와 사전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두 여당의 대부분 의원들은 판단하고 있다.

국민회의 당직자는 "지난 6일 金대통령과 金총리의 회동에서 합당문제의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안다" 면서 "JP의 국내 부재(不在)중에 DJ가 이 문제에 총대를 메기로 한 합의가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그 합의는 金대통령이 합당의 분위기를 앞장서 확산시킨 뒤, JP가 귀국한 뒤 합당의 결단을 내리는 모양새다.

이 당직자는 "이를 위해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다양한 물밑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고 전했다.

양당 사이에 논의되는 합당 시나리오는 내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해 그 역순으로 짜여지고 있다.

▶연말까지 DJT가 합의를 한 뒤▶내년 초순까지 각 당이 중앙위원회를 열어 합당을 결의하고▶합당 수임기구를 구성해 1월 20일까지 합당수임기구를 선관위에 등록하는 일정이다.

90년 민자당 3당 합당은 이런 형태였다.

선관위 등록 후 공천작업을 진행해 지구당 창당대회를 하고, 총선 출진 형식의 전당대회를 연다는 것이다.

공천지분 문제도 金대통령과 金총리 사이에 원칙적인 의견 접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경우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7대3, 영남권은 3대7, 호남과 충청은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각각 지분을 행사하면 대체로 5대5의 구도가 된다는 게 여권의 계산이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