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40만시대] 대책- 대학·정부 핫라인 설치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이제 대졸실업은 산업구조.취업시장의 근본적 변화와 맞물려 경기회복→일자리 창출이라는 양적 접근으로는 해결이 어렵게 됐다.

하지만 정부의 대졸실업 대책은 물론 대졸자들의 구직태도도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문제다.

현재 정부의 고학력 실업대책은 ▶공공근로.인턴제 등을 통한 단기적 일자리 제공책▶유망직종 취업을 돕기 위한 취업훈련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같은 정책은 실업률이라는 경제지표를 완화시키는 데는 기여했지만 실질적 효과가 미약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턴제는 참가자들로부터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필요한 노동력의 대체수단으로 악용한다' 는 비판이 나오고, 취업훈련은 기간이 짧은데다 그 깊이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노동력 수급에 부응하는 교육체계 개선▶학교-기업간 연계▶임시직에 대한 인식전환과 기회확충 등 중장기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대경제연구원 채창균(蔡昌均)박사는 "신규고용이 창출될 수 있는 산업과 관련된 대학 및 대학원 정원이 신축적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고 정부의 실업 재원에서 교육비를 대부해 방법 등을 동원해야 한다" 고 제안한다.

특히 전문가들은 대학내 취업정보실을 정부의 고용안정센터와 연계시키고, 정부 인력은행과의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담당 직원 배치 등에 대해 정부가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동부 고용정책실 관계자도 "정부의 고용안정센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양적으로만 많은 뿐 질은 낮은 상태" 라면서 "수요자가 만족할 만한 구직정보가 담긴 시스템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이 시급한 실정" 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앞으로는 정규직 대량 고용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구직자들도 임시직을 거치면서 경험을 쌓고 정규직 취업을 준비한다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익준.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