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위, 고엽제 살포지역 현장조사] 피해보상 확대 추진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 60년대 말 비무장지대(DMZ)에 뿌려진 고엽제 살포작업에 동원된 병사들과 인근 주민이 고엽제에 무방비로 노출됐다는 증언들이 쏟아지고 있다.

국회 국방위는 29일 고엽제 살포지역인 강원도 철원군 육군 백골부대를 방문, 현장조사에서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화학장교로 근무했던 이성재(李成宰.예비역 대령)씨는 "액체 형태의 고엽제인 에이전트 오렌지와 블루는 피부에 묻었고, 가루인 모누론은 맨손으로 뿌렸다" 면서 "당시 미군은 상수원.농경지.민간인 지역과 북한군이 볼 수 있는 곳에서는 작업하지 말 것 등을 지시했다" 고 말했다.

71년에 이곳으로 이주한 신경준(申景俊.철원군 김화읍 생창리)씨는 "고엽제 오염지역에서 농사를 지은 뒤 온몸에 한기가 나는 증세에 시달렸고, 7년 전부터는 중풍이 왔다" 고 호소했다.

이성규 백골부대장은 '5군단 30년사' (83년 발간)를 인용해 "당시 3사단과 6사단이 주둔했던 6.56㎢ 지역에 걸쳐 고엽제 3종류가 살포됐다" 고 밝혔다.

그는 또 "사단의 작전기록에 68년 3월 15일에서 6월 30일 사이 비무장지대 내 제초제 살포작업을 벌인 것으로 돼 있다" 고 말했다.

한영수(韓英洙)국방위원장은 "현장조사를 토대로 고엽제 피해보상의 범위를 전방부대 고엽제 피해자에게까지 확대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철원〓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