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법 위반이라니…" 옷로비 특검팀 흥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옷로비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최병모 특별검사는 18일 오전 격앙된 표정으로 서울 도곡동 특검사무실에서 기자들을 만났다.

그는 "언론이 특검팀을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왜 우리가 법원 결정에 반발하는 것처럼 보도하느냐" 며 "일부 언론에서 배정숙(裵貞淑)씨에게 전화를 건 제3의 인물이 이은혜씨라는 사실을 특검팀이 공개한 것처럼 밝혔는데 결코 사실이 아니다" 고 강력 항의했다.

그는 또 "법원에 의해 정일순씨의 영장이 기각된 뒤 국민의 알권리도 있고 우리도 답변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해 그 부분에 한정해 설명했을 뿐인데 반발하는 것처럼 잘못 알려지고 있다" 고 부연했다.

崔특검이 이처럼 흥분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법원 쪽에선 "특검이 판사의 고유 권한까지 침해하려는 거냐" 며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여권에서도 "특검법 위반" 을 들먹이며 반발하고 있다.

특별검사법 제8조는 특검 관계자가 중간에 수사내용과 진행상황을 누설할 수 없도록 돼 있다. 이를 어기면 대통령이 해임할 수 있고 3년 이하의 징역이나 5년 이하의 자격정지 등 처벌조항까지 뒀다.

따라서 崔특검의 입장에선 수사를 잘 해놓고 자칫 과정상의 문제점이 불거져 전체 내용이 훼손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는 것 같다.

그러나 특검팀 내부의 분위기는 강경한 것으로 전해진다.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게 목적인데 자꾸만 위축되지 말자" 는 주전론(主戰論)이 우세하다는 것이다. 법원이 鄭씨의 영장을 기각하며 "위증은 특검의 수사 대상이 아니다" 고 밝힌 뒤에도 특검팀이 "그걸 안하면 진실을 어떻게 규명하느냐" 며 강행 의사를 밝힌 점 등도 이같은 분위기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배경엔 진실에 접근하고 있는 특검팀을 해임하거나 법적 책임을 묻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판단도 고려됐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18일 가진 崔특검과의 일문일답.

- 배정숙씨의 사위 집을 압수수색한 경위는.

"동아일보 金모 기자가 '그곳에 가면 테이프가 있고 (이 사건의) 결정적인 증거가 있다' 고 제보해 왔다. 金기자의 진술조서를 받은 뒤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수색에 나선 것이다. "

- 그곳에 테이프 등이 실제로 있었나.

"그렇다. 문제의 녹음 테이프와 (사직동팀 보고서로 추정되는) 문건이 그렇게 압수된 것이다. "

- 裵씨가 누구와 통화한 것인지 사전에 알고 있었는가.

"입수했을 때까지 몰랐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알거다. 녹취부분도 갖고 있었다. "

- 내용 중에 옷 배달 시점 조작을 공모하는 부분이 있었나.

"테이프 내용에 대해선 확인해줄 수 없다. "

김정욱.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