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당 총무회담] '문건 국정조사' 여야 평행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언론장악 문건'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 협상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여야 3당 총무는 1일 두차례의 회담을 벌였으나 서로의 거리감만 확인했을 뿐이다.

여야가 이견을 보이는 부분은 국정조사의 대상.범위만이 아니다. 조사특위의 명칭부터 엇갈린 견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야당은 현 정권의 언론장악 음모를 규명하겠다는 다짐이다.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는 "언론장악 문건 내용이 현실화된 만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종찬'(李鍾贊)' 전 국정원장의 입장과 역할을 밝히자" 고 요구했다. 따라서 '김대중정권의 언론장악 음모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위' 라는 명칭을 내놨다.

반면 여당은 정형근(鄭亨根)의원이 벌인 '공작정치' 규명이 초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鄭의원이 평화방송 이도준'(李到俊)' 기자에게 전달한 금품규모 등을 밝혀 '정보매수' 를 입증하겠다는 생각이다.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총무는 '정형근 의원 공개 언론문건 진상조사위원회' 라는 명칭을 들고 나왔다.

李총무는 회담을 마친 뒤 "기가 막히는 회담이었다" 고 했다. 그는 "여당은 동문서답으로 일관했다" 며 "국정조사 의지가 없다" 고 비난했다. 국회 의사일정이나 상임위 활동을 전면 거부한 뒤 장외투쟁에 나설 뜻도 비췄다.

朴총무는 "여야간에 시각차가 컸다" 며 "계속 논의할 것" 이라고 말했다. 자민련 이긍규(李肯珪)총무는 "국정조사를 하자는 당론에는 변함이 없다" 고 전제한 뒤 "여야간 접점을 찾기 힘든 상황이니 차라리 검찰수사에 맡기는 게 좋겠다" 는 의견까지 내놨다.

증인에 대해 야당은 金대통령.李 전 국정원장은 물론 김중권 청와대 비서실장, 박지원(朴智元)문광부 장관, 박준영(朴晙瑩)청와대 공보수석 등의 채택을 요구하고 있다.

이강래(李康來)전 정무수석,중앙.세계 등 언론사주,국세청 관계자 등도 포함된다. 국민회의는 "있을 수 없는 일" 이라며 펄쩍 뛴다. 朴총무는 문건 관련 4인(이종찬.정형근.문일현.이도준)을 거론했다. 국민회의 확대 당직자회의 등에선 이회창 총재의 증인채택 주장도 나온다.

여야가 워낙 생각들이 달라 국정조사가 무산되고 야당이 바로 장외로 나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