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쓴소리] 통화량 적은 공중전화 철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24시간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 몇해 전 전화국에 카드식 공중전화를 신청해 편의점의 대로변 입구쪽에 설치했다. 주변에 공중전화 부스가 없어 행인들이나 가게를 찾아오는 손님들이 불편해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며칠 전 공중전화를 관리하는 직원이 찾아와 공중전화를 철거하겠다고 말했다. 한달 통화사용량(3개월 평균요금 적용 산출)이 적어 철거대상이 됐다는 것이다.

이해가 가지 않아 좀더 자세히 물어보았다. 이 직원에 따르면 그동안 공중전화는 공익사업으로 시민을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 편의 제공을 해왔으나 적자 폭이 갈수록 증가해 통화량이 적은 곳은 철거방침을 내렸다는 것이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사업자로서 '적자를 감수하면서 사업하는 사람은 없다' 는 원칙은 공감이 간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서 추구해야할 바다. 공중전화 사업은 어느 정도 적자를 예상하고도 서비스를 해야 하는 국가의 기간망 사업이 아닌가.

요즘 시민들이 휴대폰을 하나씩 가지고 있어서 공중전화 사용량이 줄어든다고 해도 공중전화 자체를 철거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급할 때 주위에 전화가 없어 시민들이 애태우면 어쩔 것인가. 공중전화사업은 공공시설물과 관련된 것인 만큼 수익성을 따지기보다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전개돼야 할 것이다.

신성숙 <서울 강동구 고덕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