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총재, '제2창당' 보물찾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의 '제2창당' 작업이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당쇄신을 선언한 지 두달이 지난 지금 제2창당 임무를 맡은 뉴밀레니엄위원회(위원장 金德龍부총재)는 당개혁을 위한 시안을 거의 마무리한 상태다.

위원회는 오는 22일 당원.시민.학자.평론가 등을 초청한 가운데 시안을 소개하고 토론을 벌인다. 위원회 시안은 당초 의욕보다는 다소 후퇴했다.

대통령 중임제와 부통령제로의 개헌 입장은 '대통령제를 유지하되 보완한다' 는 선에서 정리됐고, 당원이나 대의원들이 후보를 선출하는 상향식 공천제는 내년 총선 이후의 과제로 넘겨졌다.

이에 대해 위원회측은 "정치현실을 고려한 결과" 라고 해명한다. 한 위원은 "김종필 총리가 총선 전략으로 다시 내각제를 꺼내는 상황에서 대통령 중임제 등을 주장할 경우 불필요한 개헌논의를 촉발시킬 우려가 있어 유보했다" 고 설명했다.

상향식 공천제의 경우 "당장 도입하면 당원.대의원들 사이에서 인지도나 장악력이 앞서는 기존의 지구당위원장만 유리하게 된다" 는 지적에 따라 향후 숙제로 놔뒀다.

대신 공천심사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계파안배식 공천을 배제한다는 원칙을 정했다. 경합이 심한 지역에서는 해당지역의 시민단체나 유지 등으로 평가단을 구성해 의견을 반영하기로 한 것은 새로운 시도다.

대통령직과 당총재직 분리는 이회창(李會昌)총재측이 개운찮게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안으로 채택됐다. 金부총재가 강력히 주장했기 때문이다.

제2창당은 인물쇄신과도 맞물려 있다. 이 문제의 열쇠는 李총재가 쥐고 있다. 李총재는 그간 제법 많은 사람들을 접촉했으나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상대를 밝히면 여권이 주저앉히기를 시도할 것" 이라는 생각에서다.

李총재는 그러나 큰 원칙은 정해놓고 있다. 그는 19일 기자간담회에서 "현 정권의 반민주화를 막겠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누구와도 연대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