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지진에 日방사능사고 원전 주민 불안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경북 울진.월성, 전남 영광 등 원자력발전소 주변 주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지진이 잦은데다 울진 원전 2호기 주(主)발전기에서 수소가 대책없이 누출되고 있다는 문제제기가 국정감사에서 나오면서 원전 건설 반대운동과 불안증후군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엔 최근 일본의 방사능 누출사고도 한몫 했다.

경주의 월성 원전 건설반대대책위는 원전 추가건설 반대와 기존 원전의 안전대책 촉구 집회를 곧 열기로 했다.

더이상 한전이나 정부를 믿고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지난 1일 대책회의를 연 월성 원전 건설반대대책위 김상왕(金相旺.경주시 의원)위원장은 "주민들은 '사고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될지조차 모른다' 며 불안해 했다" 고 말했다.

이 대책위는 월성 원전 주변 경주시 양북면 23개 이.동, 양남면 감포리 등 주민 3백여명으로 96년 구성됐다.

울진군 북면발전협의회 임영창(林永昌)회장도 "2~3일 내로 대책회의를 열기로 했다" 며 "울진 원전의 수소누출 등 사실규명과 함께 한전측에 대책을 촉구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영광 주민들도 최근 잦은 고장을 일으키고 있는 영광원전의 안전감시활동을 전문가와 협력, 강화하기로 했다.

시민단체도 불안 해소와 정부의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주 환경운동연합은 2일 성명을 내고 ▶철저한 사고대비▶시민참여 방사능 방제훈련 실시▶사고 사실 은폐중단과 공개▶신규 핵발전소 건설중단 등을 요구했다.

경주환경련 이재근(李在根)사무국장은 "98년 6월 월성 원전 4호기에서 화재가 있었으나 조직적으로 은폐됐다" 며 "월성 원전은 활성단층대에 있어 지진으로 인한 위험이 높다" 며 추가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4기씩 가동 중인 월성.울진원전에는 앞으로 각각 4기씩의 원전이 추가건설될 예정이다.

지난 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는 국감에서 울진 원전 1, 2호기 증기발생기 내 작은 관(管)들의 결함과 내진(耐震)설계 미흡 등 사고위험이 있다고 지적했었다.

한편 91년 이후 전국에서 발생한 지진은 2백44건에 이른다.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진도 3.0이상 규모의 지진도 울진.경주.양산 등지에서 14건(전국 92건)이나 일어났다.

황선윤.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