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그때 오늘

부산·마산 항쟁 발발 … 10·26 사건의 전주곡 울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45면

1979년 부마항쟁 당시 부산 광복동 거리에서 시위 군중과 경찰이 대치하고 있는 모습.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은 소용돌이에 휩싸여 있었다. 그리고 그 소용돌이의 중심에는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이 있었다. 마치 80년 5월의 광주를 예고하는 듯한 상황이 그 7개월 전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78년 총선거에서 야당인 신민당이 여당인 민주공화당보다 1.1%의 높은 득표율을 보였고, 79년 8월 YH 여공들의 신민당 당사 농성사건이 벌어졌다. 그러나 소용돌이의 직접적 발단은 김영삼 신민당 총재의 뉴욕 타임스 인터뷰 기사였다. 9월 16일 뉴욕 타임스에 게재된 기사에서 김영삼은 이란에서의 재앙은 테헤란 주재 미국대사관의 실책에 의한 것이며, 한국에서 주한 미국대사관이 유사한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란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정부·여당은 김영삼의 발언을 강력하게 비난했고, 10월 4일 김영삼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했다. 정치적 파장이 커지자 미국은 10월 6일 글라이스틴 주한 미국대사를 소환하였고, 10월 13일 신민당에서는 의원 전원이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하였다.

이 상황에서 부산과 마산의 학생·시민들이 김영삼 총재 제명 반대와 민주화를 요구하며 시위에 돌입하였다. 10월 16일 부산에서 시작된 시위는 18일과 19일 마산과 창원으로 확대되었다.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는 18일 0시를 기해 부산 지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20일에는 마산·창원에 위수령을 내렸다. 정부의 강력한 탄압에 의해 시위는 진정된 것으로 보였지만, 실은 부산과 마산의 민주화 시위는 유신체제의 몰락을 가져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시위를 진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둘러싸고 박정희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중앙정보부장과 청와대 경호실장 사이에 갈등이 있었고, 이것이 10·26 사건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79년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많았다. 연초부터 이란과 니카라과에서 미국에 반대하는 혁명이 이어졌으며, 12월에는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에 진주했다. 세계사적으로 볼 때 79년의 소용돌이는 74, 78년의 오일쇼크에 이은 경제위기와 베트남 전쟁 이후 전개된 복잡한 국제관계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의기양양하게 아프가니스탄에 개입했던 소련 정부는 그 후유증으로 몰락하였고, 미국의 일방주의에 반대했던 이란에서는 지금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부마민주항쟁을 기념하는 민주공원의 이름을 개칭하려 하는 역사 속의 새옹지마를 겪고 있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한국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