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형구 전 공안부장 '파업유도' 부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 '조폐공사 파업유도 국정조사특위' 는 27일 이 사건의 최초 발설자인 진형구 (秦炯九) 전 대검 공안부장과 안영욱 (安永昱) 전 대검 공안기획관을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시켜 파업유도 사건의 진상을 추적했다.

여야 의원들은 김태정 (金泰政) 전 검찰총장 등 검찰의 조직적 개입여부를 추궁했으나 秦전부장은 "검찰 조직은 물론 개인적으로도 (조폐공사) 파업을 유도한 적이 없다" 며 완강히 부인했다.

그의 이런 발언은 '秦전부장이 여러차례 옥천.경산창 (廠) 통폐합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을 행사했다' 는 검찰수사 발표까지 부인하는 것이다.

그는 또 "이번 사건은 개인적으로 어려움에 빠진 강희복 (姜熙復) 전 조폐공사 사장이 (증인의 파업관련 발언을) 이용한 사건이냐" (자민련 李健介의원) 는 질문에 "그렇다" 며 책임을 미뤘다.

반면 전날 姜전사장은 "진형구씨가 지난해 9월 '임금삭감안을 구조조정으로 바꾸라' 며 사실상 압력을 행사했다" 고 밝힌 바 있다.

秦전부장은 "지난해 9월 중순 姜사장을 만난 것은 姜사장이 대검 청사로 찾아왔기 때문이며 당시 직장폐쇄의 불법성 여부를 고민하는 姜사장에게 법률적 자문을 했을 뿐"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秦전부장은 한나라당 김문수 (金文洙) 의원이 "지난해 3월부터 대검공안부가 주도했던 공안대책협의회가 40여차례나 회의를 가졌으며 그중 26건이 노동문제와 관련된 것이었느냐" 는 질문에 "많이 개최했다" 고 인정했다.

한나라당 김재천 (金在千) 의원은 "조폐공사측이 지난해 대검.대전지검에 18차례나 팩스로 각종 문건을 보고한 것은 검찰이 조폐공사 구조조정에 적어도 지난해 7월부터 개입했다는 증거" 라고 주장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