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CP 따로 떼내 대우 '배드 펀드' 만들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수익증권 환매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대우그룹 회사채와 기업어음 (CP) 을 따로 떼내 '배드펀드 (Bad Fund)' 를 만드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업계와 연구기관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실적형 펀드에 대한 공적자금 지원은 안되지만 민간 주도의 펀드설립이라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을 비추고 있다.

◇ 배드펀드의 설립추진 배경 = 지난달 19일 대우그룹 구조조정방안 발표 이후 투신권에는 공사채형 수익증권 환매를 요구하는 투자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당국이 창구지도에 나서 기관투자가들의 환매요청은 잠재웠지만 기업과 개인투자자들에게는 힘이 미치지 못하는 데다 기관들도 창구지도 해제시점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자들이 환매에 나서는 원인은 수익증권 판매 금융기관들이 대우그룹 회사채를 대거 떠안고 있어 수익률이 크게 떨어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자들의 환매심리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문제로 느끼는 대우 회사채.CP를 별도로 떼낼 필요가 있다는 논리다.

◇ 거론되는 방안들 = 현대증권은 정부가 나서 배드펀드를 설립하고 대우그룹 회사채와 CP를 모두 할인 인수한 뒤 외국인 투자자와 국내 금융기관에 되파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경우 공사채형 수익증권 거래주체인 투신사.증권사.투자자들이 손실을 분담하게 되며 정부는 수익증권 매입금액과 판매금액의 차액을 공적자금으로 채워넣는다는 안이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 (KDI) 도 유사한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KDI안은 투신사별로 현재 운영 중인 각종 펀드안에 포함된 대우 회사채를 따로 떼내 해당 투신사내에 별도 펀드를 만드는 방법으로 공적자금 투입은 안된다는 입장이다.

◇ 금융당국 입장 = 김석동 (金錫東) 금감위 금융시장 특별대책반장은 "투신사 밖에 별도 펀드를 설립하면 정부 스스로 대우에 대한 은행대출금이나 해외부채가 부실채권이라고 인정하는 꼴이라서 사태해결을 더 어렵게 만들 우려가 있다" 고 밝혔다.

그는 다만 "투신.증권업계가 자구계획으로 자기들의 돈을 넣어 별도 기금을 만든 다음 대우 회사채와 CP를 사주는 것은 막을 이유가 없다" 고 밝혔다.

임봉수.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