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개지구 재건축 어떻게 돼가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울시가 잠실 등 5개 저밀도지구 아파트지구 43개 단지에 대한 기본개발계획안을 공고함에 따라 각 지구별 재건축 추진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재건축추진위원회는 이르면 2002년말께부터 입주가 가능하다고 의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형평형 의무화 (30%) 와 낮은 용적률 (270%)에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어 재건축 추진에는 곳곳에 걸림돌이 도사리고 있다.

각 지구와 단지별 재건축 추진현황을 소개한다.

◇ 잠실 지구 = 5개 저밀도 아파트지구 중 재건축 추진위원회의 구성.설계.시공사 선정이 가장 빨리 이뤄졌다.

지난 24일 잠실 4단지를 끝으로 5개 단지 모두 시공사를 선정했다.

잠실 1.시영 단지가 올연말부터 주민 이주 작업에 들어가는 등 사업진행이 가장 빨라 이르면 2004년초께부터 입주가 시작될 전망이다.

최근 시공사를 선정한 잠실 3.4단지의 경우 다른 단지보다 6~12개월 늦은 2005년초 입주를 계획하고 있다.

한편 잠실지구 재건축추진위원회는 당초 계획과 달리 서울시가 전용면적 60㎡ (18평) 이하의 소형 평형을 총 건립 가구수의 30%이상 확보토록 한 것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가 원만히 처리되지 못할 경우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 반포지구 = 전체 면적 (1백12만㎡) 은 잠실지구와 비슷하지만 가구수는 9천20가구로 절반도 안돼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공1단지가 지난 95년 시공사를 선정했고 나머지 주공2.3단지, 반포, 신반포 15차 등은 아직 시공사를 선정하지 않았다.

반포지구중에서는 반포미주가 가구수 (2백80)가 적은데다 세입자 비율이 적어 (10~40%) 추진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단지 김이택 재건축추진위원장은 "내년 가을 이주를 시작해 2001년 3월 착공, 2003년 상반기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고 말했다.

하지만 주민부담금이 1억~1억5천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소형평형 30% 의무화를 적용할 경우 사업성이 없다는 판단이어서 추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반면 대형평형인 신반포 15차 아파트는 재건축시 별다른 수익이 없다며 재건축 논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

◇ 청담.도곡지구 = 영동2.3단지, 영동차관, 개나리 1.3차, 도곡주공1.2단지 등이 시공사를 선정하는 등 재건축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개나리 1~3차가 대체로 추진이 빠른 편으로 개나리 3차의 경우 2000년 3월 이주를 시작해 2000년 10월 착공, 2002년 말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평형 의무화에 대한 주민반대가 커 기본계획안 확정시 주민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추진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소형평수가 많은 영동1~3단지의 경우 기본계획안대로 용적률 2백70%가 될 경우 일반분양분이 거의 없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주민 반응이다.

김영복 영동2단지 재건축추진위원장은 "용적률 추가 확대를 요구하겠다" 고 밝혀 추진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화곡지구 = 화곡지구는 13개 아파트.연립주택 단지를 3개 주구 (구역) 로 나눠 사업을 시행해 앞으로 주구별 조합을 결성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진행 속도가 다소 늦어질 전망이다.

일부 단지가 개별적으로 시공사를 선정했지만 주구별 조합이 결성되면 시공사를 재선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비교적 가구수가 많아 이미 시공사 선정을 마친 내발산 주공.화곡 2주공.우신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주구별 재건축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우신아파트 재건축추진위 위원장 백옥교 (56) 씨는 "전체 가구수가 많지 않아서 재건축 속도가 더 빠를 수도 있다" 고 말했다.

◇ 암사.명일지구 = 모두 4천9백20가구로 5개 지구중 규모가 가장 작다.

재건축추진위원회 구성은 대부분 완료됐지만 동서울단지 (4백70가구) 만 시공사를 선정했으며 강동시영 1차 (3천가구) , 2차 (1천4백가구) 등은 기존 가구수가 많고 소형평형이어서 상대적으로 재건축추진이 더딘편이다.

강동시영 2차의 경우 당초 2000년 5월 세입자 이주를 시작해 2002년 5월 착공, 2005년 입주를 예정하고 있으나 세입자도 많고 주민동의도 불투명해 계획대로 추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문경란.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