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원 떠난 지 22개월 만에 … 당 아닌 정부로 돌아온 ‘왕의 남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재오(사진) 전 의원이 돌아왔다.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그를 국민권익위원장(장관급)에 내정한 것이다. 이 전 의원은 30일 정운찬 총리가 주재하는 첫 국무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대선을 앞둔 2007년 11월 한나라당 내분의 책임을 지고 당직(최고위원)에서 물러났던 그가 22개월 만에 정부로 돌아오는 셈이다. “국민권익위의 기능을 친서민·중도실용으로 강화하는 데 적임자라고 판단했다”는 게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의 인선 배경 설명이다.

10개월간의 미국 체류를 마친 이 전 의원이 지난 3월 귀국했을 때부터 그의 거취는 정치권의 관심사였다. 이 대통령과 ‘정치적 동지’인 그의 복귀 지점으로 권력의 무게추가 쏠릴 수 있기 때문이다. 친이와 친박이 대립할 때마다 그가 친이 진영 진두에 있었다는 점도 그의 발걸음을 주목하게 했다.

그는 줄곧 ‘당으로의 복귀’를 희망해 왔다. 개각을 앞두고 이름이 나올 때마다 그는 측근들에게 “나와 대통령의 생각이 같은데 굳이 정부에 함께 있을 필요가 있느냐”는 말로 마음을 표현하곤 했다. “나는 공무원으로 월급을 받는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는 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 복귀의 문은 열리지 않았다. ‘9월 조기 전당대회론’은 무산됐고 박희태 전 대표의 출마로 비게 된 최고위원 자리로 진출하는 방안도 여의치 않았다. 10월 재선거에는 자신의 지역구(서울 은평을)가 포함되지 않았다. 당을 고집하면 공백이 길어질 상황에서 결국 정부에 들어가 이 대통령을 돕는 길을 택한 것이다.

김은혜 대변인은 “청와대가 권유했고 이 전 의원이 수락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전 의원은 정권 탄생에 도움이 된 권력의 핵심인데 부처 하나를 맡기엔 격이 맞지 않아 국정에 보탬이 되는 위원회를 찾은 것”이라며 “서로 같이 고민하다 교감에 의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과거 고충처리위·국가청렴위·국무총리 행정심판위를 합친 권익위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내정 사실이 알려진 직후 이 전 의원은 “대통령이 부르시는데 가야지”라고 말했다고 한 측근은 전했다.

이 전 의원은 29일 탈당계를 제출했다. 권익위원장이 정치적 중립을 요구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그가 당을 잠시 떠나면서 내년 2월 전당대회도 추진 동력이 약해지게 됐다. 친박계의 한 재선 의원은 “(이 전 의원의 임명이) 뜻밖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적인 주목을 받지 않는 자리로 가는 것 같다”고만 말했다.

강주안·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