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신종플루만큼 무서운 독감, 면역력이 중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자닥신’ -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 백신보조제 면역증강제로 승인

자닥신은 면역 조절 장기인 흉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가장 탁월한 면역작용을 내는 펩타이드 (Thymosin alpha1)가 주성분인 제품으로서, 면역기능이 저하된 사람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시의 면역 증강효과를 국내외에서 공식 인정 받은 제품(전문약, 주사제)으로 제조사는 미국 나스닥 등록기업 Sciclone USA 이다.

미국 나스닥 상장 바이오벤쳐 회사인 싸이클론(http://www.sciclone.com) 은 최근 3분기 판매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9%늘어난 2천2백만불에 달했다고 최근 공시하였다. 이는 싸이클론의 대표적인 약물인 자닥신 (Zadaxin, Thymosin alpha 1)의 판매증가에 따른 것으로 자닥신은 현재 한국, 이태리를 포함한 12개국에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의 백신 보조제로 허가되어 있다.

실제로 2003년 사스의 유행시에는 자닥신에 대한 급격한 수요의 증가로 약물을 제때 공급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이나 항체 생성율이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따라서 바이러스 백신과 자닥신을 같이 처방했을 때 면역증강 효과는 백신 단독에 비해 면역력을 50~100%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러스 대한 자닥신의 효과시험(in vivo)에서 T세포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등 여러 실험 결과들을 감안했을 때 상당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면역시스템 활성화의 해답은?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면역시스템의 활성화가 가장 중요하다. 이의 예방을 위해서1차적 선택으로 백신을 접종해야 하지만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는 백신만으로는 충분한 면역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어려우며(항체 생성률 약 50%), 내성균이 발현되어 염려가 클 뿐 아니라 기본적으로 바이러스의 생체 내 증식과 확산을 완전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므로 최종적으로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는 자가 면역시스템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특히 현실적으로 바이러스에 대해 의사나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매우 제한적이다. 바로 이러한 점들이 자닥신이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절대적 대안으로 부각되는 이유다.

자닥신은 NK 및 T 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성을 높여주어(INF-,IL-2 분비촉진) 바이러스 및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고 MHC 발현을 촉진하여 감염된 세포 제거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임상실험을 통하여 밝혀졌다.

자닥신 면역 촉진 작용기전 (Dual Mechanism of Action = Immunomodulatory + Antiviral)

◆ 자닥신 처방의 문제점

현재 국내의 경우 자닥신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고령환자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시의 보조요법으로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희귀의약품의 특성상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처방 되기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있으나 고 위험군의 경우에는 예방적 면역 증진을 위하여 또는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에는 항체 생성율을 높이기 위하여 병용 처방이 권유된다.

자닥신은 미국/ 이태리등 전세계 31개국에서 국가별로 만성B형 간염 치료제, 만성C형 간염 치료제, 항암보조제, 백신보조 면역증강제, 면역증강제 등 면역기능 저하에서 오는 만성질환의 치료제 또는 보조제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닥신 용법은 고령환자 등 면역력이 극히 저하된 경우에는 주2회 4주 투여(총 8회)이나 일반적으로는 4회 접종으로도 의미 있는 면역력 증진효과를 보인며 실제로 2003년 ‘사스’의 유행 시에는 자닥신에 대한 급격한 수요의 증가로 약물을 제때 공급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사진출처 및 도움말
㈜ 파마리서치 강기석상무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자료입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