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드림' 이후 조선족 이야기-SBS '…모닝와이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5면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조선족들에게 불어닥쳤던 '코리안 드림' .돈을 벌겠다는 일념으로 한국행을 꿈꾸다 당한 취업 사기. IMF 이전 원화의 위력 앞에 흔들렸던 그네들의 자존심. '코리안 드림' 의 열병이 몰아닥치고 10여년, 간도 이주로 시작된 중국 정착 1백여년. 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SBS '출발!모닝와이드' (매일 오전 6시)가 21일부터 매주 월~수요일 13부작으로 준비한 '윤동혁PD의 백두산 조선족 탐방기' 에서 조선족의 근황을 확인할 수 있다.

'…탐방기' 는 우선 백두산 하늘 아래 첫 동네의 조선족 마을 내두촌 (해발1천1백m) 을 찾았다. 옌지 (延吉) 등 대도시의 조선족들에게는 너무 오지라 '전설의 마을' 로 불리는 곳. 하지만 전화만 없을 뿐 자본주의의 신문물은 이곳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어지는 내두촌 사람들 이야기. 60여 가구의 정서와 삶의 방식은 아직 순박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콩을 갈아 두부를 만들고, 그 찌꺼기로 돼지를 기르고, 동네 모내기 품앗이 다니는 '홍이 엄마' 에서 30명 남짓 초등학생들이 한국어로 공부하는 내두 소학교까지.

카메라는 이어 중국 내 조선족의 절반인 1백만명이 모여 사는 옌지로 이동한다. H.O.T의 노래는 그 곳에서도 인기곡이었고 돈을 제일의 가치로 여기는 배금주의 풍조도 다를 바 없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듯 자본주의의 좋지 않은 점이 먼저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 제작진의 설명. 중국 대도시나 한국행만을 고집하는 조선족 처녀들로 인해 장가가기 힘든 옌지 농촌 총각들의 현실도 다뤘다.

이 프로를 만든 독립제작자 윤동혁PD는 어느 북한 새댁에게 아이를 낳으면 꼭 다시 찍으러 오겠다는 약속을 남겼다. 그 아이를 통해 우리의 분단과 북한 식량난 문제를 환기하겠다는 취지다.

우상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